김동춘 성공회대 교수 제주4.3희생자유족회 토론회서 주장
[제주매일 고영진 기자] 제주4.3을 ‘추념일’로 지정하기 위해서는 4.3사건의 진상과 성격, 의미 등을 널리 알리는 국민적 설득을 거쳐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제주4.3희생자유족회 주최로 17일 제주하니관광호텔에서 열린 ‘2013 제주4.3희생자유족회 토론회’에서 ‘국가추념일과 화해.상생의 길’을 제주로 발표에 나선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는 이 같이 주장했다.
김 교수는 4.3의 명칭과 추념일 날짜를 국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도록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추념’으로 명칭을 정할 경우, 제주도 사람들은 물론 모든 국민이 희생을 추념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있다”며 “‘추념일’로 제정되면 제주도 밖의 사람들에게 추념이 강요되는 결과가 될지 모르고 그
역풍은 광주 5.18 이상의 것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김 교수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소 난관이 있고 국민적 공감이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현 시점에서는 국민적 설득을 거쳐 ‘추념일’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4월 3일을 추념일로 할 경우 성격 논쟁이 재연되고 국민은 물론 제주도민의 화해와 통합을 어렵게 할 수도 있다”며 “먼저 국민을 이해시키고 동의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도 제시했다.
김 교수는 “국민들에게 4.3보고서 축약판이나 영상물 등을 보급하고 사건의 성격과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한편 정부와 민간에서 이 사안을 홍보해 국민들이 추념일 지정에 자발적으로 동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또 김 교수는 교학사 교과서의 4.3 서술 부분 등은 단순히 성명서로만 비판할 것이 아니라 필자들을 불러 공개 토론회를 열고 그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사실에 기초한 토론을 통해 합리적 반대론을 주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4·3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 이해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여론조사를 실시, 분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