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료원 불신 어디까지 갈 것인가
지방의료원 불신 어디까지 갈 것인가
  • 제주매일
  • 승인 2013.12.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의료원과 서귀포의료원에 대한 제주도감사위원회의 종합감사 결과가 발표되면서 또다시 지방의료원의 방만 경영과 이에 따른 폐단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제주의료원과 서귀포의료원의 경영문제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지만 이번 감사위원회 감사결과 그동안 꾸준하게 제기돼 온 문제들이 여전히 현재에도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감사위원회가 이들 두 의료원을 대상으로 지적한 대표적 방만 운영의 사례는 제주의료원의 경우 직원의 실제 출근 여부를 확인도 하지 않은 채 기본급과 근속수당 등 모두 5000여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위원회는 제주의료원의 경우 모두 37건의 부당 사례를 지적한 뒤 직원 1명을 징계하도록 제주도지사에게 요구했다.
서귀포의료원의 경우에도 의료원 운영의 문제점은 제주의료원과 다를 바 없게 나타났다. 60명 넘는 직원을 채용하면서 신원조회를 하지 않은 것을 비롯해 대학생 실습을 한 뒤 실습비를 의료원 계좌가 아닌 물리치료사 개인 계좌로 입금하기도 했다.
제주의료원과 서귀포의료원은 말 그대로 제주도가 세운 도립의료기관으로 제주지역 공공의료의 중심축이다. 특히 이들 지방의료원은 의료혜택이 상대적으로 적은 서민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되는 중추 진료기관이다. 이에 따라 병원운영의 투명성과 함께 재정 건정성이 뒷받침돼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지방의료원은 그 업무의 속성과 일반 병의원과 달리 저렴한 진료비 등으로 재정적자가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오히려 지방의료원이 흑자를 기록한다면 그 자체가 어떻게 보면 문제가 될 수 있다. 문제는 지방의료원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이 같은 적자가 어떻게 발생했는가 하는 점이다. 감사위원회의 지적처럼 직원들에 대한 과다한 비용지출이나 아니면 불필요한 경비를 절약하지 못해 발생한 것이라면 이는 반드시 바로잡고 나가야 한다.
지방의료원의 재정적자는 결국에는 도민들이 낸 세금으로 충당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병원운영의 투명성과 공공성이 더더욱 요구되는 것이다. 아울러 지방의료원에 대한 관리감독권을 행사하고 있는 제주도 또한 이번 감사결과에서 벗어날 수 없다.  지방의료원이 건전한 운영이 될 수 있도록 더욱 철저한 감독권 행사를 집중해야 한다. 양대 의료원과 제주도 보건당국의 실현 가능한 재발방지책 마련과 무너진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진솔한 대안 마련을 촉구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