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교사들, 교수권 없다”
“대한민국 교사들, 교수권 없다”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3.12.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6일 제주교육발전연구회 강연서 교육평론가 이 범씨 주장

[제주매일 문정임 기자] 우리나라 교사들에게는 진정한 의미의 교수권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16일 저녁 제주도의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주교육발전연구회(대표 이석문 의원) 주최 전문가 초청강연회에서 교육평론가 이 범씨(44)는 “교사는 일정한 자격을 취득한 전문가이지만 대한민국은 교사들이 수업방식을 고민할 여건을 만들어주지 않는다”며 “사실상 교수권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교육평론가 이 범씨.

이 씨는 “현재 교사들은 개학 1주일 전에 새로 맡게 될 학년을 통보받기 때문에 새로운 교육적 실험을 고민할 시간이 없고, 교무회의에서 발언권을 얻기까지 10여년이 걸려 회의에서조차 다양한 수업관련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지 못 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 씨는 또 “현재의 학년별 석차평균 시스템이 동일한 문제로 시험을 봐야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개별 교사들의 노력만으로 수업이나 평가의 방법을 바꾸기가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 씨는 그러나 전국의 여러 학교를 방문한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경기도 고양시 덕양중학교(교장 이준원)의 경우 수업시간에 조는 학생이 없어 이유를 물었더니 “학생 참여를 늘리는 방식으로 매년 수업내용을 바꿔나갔다는 답이 돌아왔다”며 “이는 ‘혁신학교’로 선정돼 교사들이 다양한 ‘교육실험’에 달려들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말했다.

이 씨는 덕양중의 경우 “모든 교사가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진짜 회의’를 한다”고도 덧붙였다.

이 씨는 “현재 우리나라의 대입제도는 미국식으로 진화해 학생들의 ‘역량 검증’을 요구하는 반면 대한민국의 공교육은 일제 식민지 시대이후 이어져 온 주입식 틀을 그대로 가져가고 있다”며 “이 부조화가 사교육을 늘리는 주범”이라고도 지적했다.

한편 이 범씨는 경기고와 서울대 분자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서울시교육청 정책보좌관, 강남구청 인터넷수능방송 강사, EBS 수능 인터넷강의 강사 등을 지냈다. 현재는 교육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저서로 「우리교육 100문 100답」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