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경영진 이성(理性) 회복해야”
“대학경영진 이성(理性) 회복해야”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3.12.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교 경계 넘어 교수진 한 목소리
도·대학에 공공성 회복 노력 촉구

[제주매일 문정임 기자] 제주한라대가 ‘부당 인사’ ‘독단 운영’으로 도마에 오른 가운데, 노조에 이어 교수들도 비판에 가세하고 나섰다.

특히 이들 교수진은 각기 다른 소속으로, 학교 간 경계를 넘어 대학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제주한라대는 지난 3월 교수협의회 및 노조 출범 이후 갈등이 계속 번져가는 상황이다.

노조의 경우 당초 월급체계 변경 절차의 문제를 지적하는 수준에 머물렀으나 이후 교섭하는 과정에서 대학 측의 대표교섭권 불인정과 부당 인사발령, 교섭태도 불성실이 이어지며 현재는 대학 측에 쟁의를 통보한 상태다.

교수협의회도 가입 교수에 대한 대학 측의 지속적인 압박과 회유가 있었다는 입장이다. 때문에 부당 인사발령 등 대학 측의 교권 탄압을 지적하며 여러 차례 기자회견과 피켓시위 등을 벌여왔다.

특히 최근에는 노조와 교수협의회가 대학의 ‘불통 행정’에 공감대를 갖고 공동 대응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향후 사태에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2일에는 제주대교수회·제주한라대교수협의회·진실과정의를위한제주교수네트워크가 제주대 교수회관에서 공동 성명을 발표, 제주한라대의 공공성 및 자율성 확보에 대한 관심과 우려를 공식적으로 표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제주한라대가 편법적인 대학평의회 구성과 독단적인 대학 운영, 인사 비리와 노사 갈등으로 대학의 공공성을 상실하고 있다”며 제주한라대 경영진에 대해 “이성을 회복해 자율적이고 민주적으로 대학을 운영하라”고 질타했다.

이 같은 사태에 대해 미온적인 모습을 모이고 있는 듯 한 제주도에 대한 질책도 이어졌다.

교수들은 “앞서 정부의 모르쇠 정책으로 제주국제대가 지난 10여년 침체의 길을 걸어왔듯, 제주한라대도 언제든 같은 상황에 놓일 수 있다”며 “사학 업무와 권한이 제주도로 이관된 만큼 도가 제주한라대 사태에 강력한 지도감독권을 발동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교수들은 또 “대학에 유리하게 짜인 현행 ‘제주도 대학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공공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