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전국 최초로 지방기록물 관리기관을 만들기로 했다고 한다. 가칭 ‘탐라기록원’ 설립이 그것이다.
탐라국 이래 천년 역사와 문화기록들을 수집-정리-보관하고 관리하는 일은 그 어떤 사업에도 버금가지 않은 중요 사업이라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줄 안다. 그러한 의미에서 우근민 도정이 가칭 ‘탐라기록원’을 설치키로 한 것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미 제주도는 2억 원의 예산을 확보, 기초 작업에 착수한 모양이다. 우선 도청 제2청사 지하 1층과 지상 3층 1275㎡를 기록물 전용 공간으로 활용키로 했다. 여기에 지방자치 사료관(史料館)-종합 열람실-서고(書庫)와 도서 제작실-기록물 데이터베이스 실-행정박물실(行政博物室)-행정문서 보관실 등을 마련, 내년까지 1차적으로 각 공간별 기록물 배치를 끝낸다는 계획이다. 이로써 ‘탐라기록원’ 개관이 눈앞에 다가온 셈이다.
그러나 이것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제주도 기록물 관리 시스템’이 완성된 것은 아니다. 제주도 기록물들은 제주도 역사의 원사료(原史料) 내지 2~3차 사료(史料)들이다. 아니 그것이 곧 제주의 사초(史草)요, 사기(史記)인 것이다. ‘탐라기록원’ 설립의 필요성이 거기에 있는 것이다.
때문에 ‘탐라기록원’이 기록원으로서 제 기능을 다하려면 아직도 해결해야 할 일들이 많다. 흩어져 있는 자료들을 수집하는 일도 그렇거니와 편향 되거나 왜곡된 자료를 가려내는 일, 각종 행정-의회 자료의 의도적 첨삭(添削)을 막는 일 등이 그것이다. 기록원 기록이 왜곡 되면 제주도사(濟州道史)가 왜곡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에 하나 ‘탐라기록원’ 자료들이 행정이나 의회, 정파, 특정 인사-단체 등의 편향된 기록들로 채워진다면 그러한 기록원은 없음만 같지 못하다.
따라서 ‘탐라기록원’이 진정한 기록원으로 영구히 존속 되려면 먼저 행정기관으로부터 분리 독립해야 한다. 그렇다고 제주도 등의 예산지원까지 받지 말란 얘기는 아니다. 도민 혈세라 하더라도 꼭 필요한 곳에는 써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록원 보관 자료의 수집, 취사선택, 왜곡된 부분의 첨삭 등 공정 관리를 위해서는 정파나 관변 단체, 어용학자들을 배제시킨 선비정신이 강한 강직한 인사들로 심의위원회와 같은 기록원 내 기구설치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