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개발지역 치안수요 못 쫓는 치안력
도시개발지역 치안수요 못 쫓는 치안력
  • 김동은 기자
  • 승인 2013.1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6년 아라파출소 폐쇄 후 신설건의 불발
이도2동 등 도심 팽창 교통·주차난 ‘부작용’

[제주매일 김동은 기자] 제주시 이도2동의 인구가 노형동에 이어 두 번째로 5만 명을 넘어서는가 하면 아라동도 2만 명을 돌파하는 등 일부 동지역의 인구 증가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에 따른 치안 수요 증가는 물론 주차난 가중, 교통 혼잡 등의 부작용도 예상되고 있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2일 제주시에 따르면 올해 11월 말 현재 주민등록인구 기준 제주시 인구는 44만4726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3만5008명에 비해 9717명(2.2%)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도2동 인구는 지난해 같은 기간 4만8461명 보다 1546명(3.2%)이 늘어난 5만7명으로 집계, 노형동에 이어 두 번째로 5만 명을 넘어섰다.

또 아라동은 인구 2만46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만5810명에 비해 무려 4658명(29%)이 늘었다. 이는 각종 도시개발사업으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공동주택이 들어서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일도1·2동, 용담1·2동, 건입동, 삼양동 등은 오히려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구도심 공동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문제는 일부 동지역 인구 집중에 따른 치안 수요 증가와 함께 주차난 가중, 교통 혼잡 등의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지만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은 지지부진하다는 점이다.

실제 아라동의 경우 치안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 2006년 파출소가 사라진 뒤로 거점형 치안센터만 운영되면서 경찰관 2명이 치안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올해 제주동부경찰서가 제주지방경찰청에 아라파출소 신설을 건의했으나 정원 확충과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이도2동은 주차난과 교통 혼잡 문제가 좀처럼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오히려 심화되고 있지만 행정은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동주민센터 직원수 대비 주민수의 편차로 인해 행정 수요에 대한 서비스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행정의 지역 균형 발전 정책 등이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실효성 있는 보완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제주시 관계자는 “도시개발사업 등에 따른 일부 동지역 인구 집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 간 균형 발전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