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뮤지엄 웨딩홀에서 열린 ‘2013 재경 서고인 정기총회 및 송년의 밤’에서의 ‘내면적 거래(內面的 去來)’ 발언으로 촉발 된 전(前) 서귀포시장 한동주 게이트는 날이 갈수록 파장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 제주도당은 검찰 고발 외에도 한동주 전 시장의 해명성 기자회견을 “우근민 지사에 대한 반성문에 지나지 않는다”며 공격하고 있고, 중앙당은 강도를 더 높여 아예 “우근민 지사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제주도내 시민사회단체들도 마찬가지다. 제주경실련은 “우(禹) 지사부터 수사하라”고 검찰에 요구하고 있고, 공무원노조 서귀포시 지부는 “한동주 전 시장의 언동은 공직사회가 얼마나 조직적으로 선거 줄서기에 이용당하고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제주 주민자치연대도 논평을 내고 “사건의 몸통은 우근민 지사”라고 노골적으로 표현하면서 “철저한 수사” “새누리당의 출당 조치” 등을 주장하고 있다. 이뿐이 아니다. 일반 도민들 사이에서도 ‘한동주 게이트’에 대한 시시비비가 치열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누리당은 지방-중앙당 모두 ‘한동주 게이트’에 대해 한마디도 공식 논평이 없다. 제주도 전체가 들썩이고 있는 ‘한동주 게이트’와 같은, 일찍이 들어 본적이 없는 대사건을 눈앞에 두고도 아무것도 아니라는 듯 외면해 버리는 것은 공당(公黨)으로서의 태도가 아니다.
하물며 새누리당은 최근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우근민 지사를 내년 지방선거의 유력한 후보 경선자로 입당시키지 않았던가. 따라서 우근민 지사와 결코 무관하지 않은 ‘한동주 게이트’에 대해 대공당(大公黨)인 새누리가 짐짓 공식 논평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도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며 당 스스로도 이로울 것이 없다. 질책을 하든, 칭찬을 하든 어떤 반응이 있어야 할 게 아닌가.
내년 지방 선거가 앞으로 반년도 채 남지 않았다. 새누리당이 ‘한동주 게이트’를 슬기롭게 대처하지 못하고 어물어물하다가는 지난 지방선거와 총선 때의 참패를 되풀이 하게 될지도 모른다. ‘한동주 게이트’에 대한 조속한 입장 표명이 필요한 이유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