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면 1. 11월 29일(금) 재경 서귀고 동문회 송년회 자리.
“나(우근민)가 당선되면 너(한동주)가 서귀포시장을 더 해라. 그러면 니(한동주)가 서귀포고등학교를 더 발전시킬 수 있는게 아니냐...솔직히 이런 내면적인 거래를 하고 이 자리에 왔다.”
“제가 (서귀포시장으로)와서 보니까 서귀고등학교가 모든 인사에 있어서 밀려 있었다. 지금까지”
“제가 (시장직을) 더해야 이 친구(시청 내 고교동문)들을 다 제 자리로 끌어올릴 수 있고, 서귀포시내에서 사업하는 분들 계약 하나 더 줄 수 있고. 그렇게 영향을 미칠 수가 있으니까 그렇게 도와주시기 바란다”
# 장면 2. 12월 3일(화) 시청 기자실-직위해제된 한동주 전 시장의 주요발언
"내면적 거래, '욱'해서 지어낸 순간적 발언"
"직위해제 당하고 나서 죄송하다고 지사님께 전화드렸더니 '잘 처리하라. 네가 벌인 일이니까 잘 처리하라’고 당부했다."
정말 얼척없다. 동문회 공식 석상에서 위법한 발언을 해 서귀포와 학교를 조롱거리로 만든 서귀포시장은 물의를 빚어 죄송하지만 본인 발언이 와전됐다고 변명한다.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으로 온 나라가 들끓고 제주도지사의 돌발적인 정치행보와 행정시 공무원들의 고질적인 유착비리가 불거져 도민들의 마음이 불편한 이때에 더욱 삼가야할 서귀포시장은 역으로 호기로운 고백을 해버렸고, 뒤늦은 기자회견은 30분 대부분을 님을 향한 아부성 변명으로 중언부언이다.
시장은 도지사에게 무엇이 죄송했던 걸까? 시민들에게는 늑장 해명을 한 반면, 도지사에게는 득달같이 사과전화를 했고 도지사는 시정의 대표자를 ‘너’ 라고 하대한다. 우리 제주도 행정이 어쩌다가 이 지경까지 된 걸까?
설사 동문회 발언이 시장의 과장된 거짓부렁이라 하더라도 문제는 남는다.
첫째, 본인의 명예를 크게 더럽힌 서귀포시장을 도지사가 고소,고발하는지 여부가 진실판단의 척도가 될 것이다. 과연 그리 할 것인가?
둘째, 학연을 부추기는 시장의 마인드와 끈적끈적한 의혹은 여전하다는 거다. 동문 간 사적인 호의야 뭐라 할 것은 아니지만 공적 영역이라면 사정은 다르다. 주민직선제가 사라진 동안 심해진 정실주의, 연고주의가 국제자유도시 글로벌 스탠다드인가?
힘써 배우고 참되게 행하자는 서고 교훈에 먹칠을 하며 힘써 아부하고 욕되는 언동을 실천한 일명 ‘한동주 게이트’ 는 매우 부끄러운 짬짜미이다. 묻힐 뻔한 잘못을 내부고발한 민주주의 시민정신이 보편화되도록 양심언론과 사법당국의 추상같은 분발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