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매일 박민호 기자] 제주도폐기물처리(소각․매립)시설 확충에 따른 주민설명회가 행정의 안일한 대처와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되면서 쓰레기 문제가 자칫 지역(마을) 간 갈등으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달 18일 제주도폐기물(소각․매립)시설 확충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한 주민 의견을 수렴키 위해 주민설명회 개최를 공고했다. 하지만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설명회 개최가 무산되면서 파행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 매립장이 들어선 봉개동(봉개․회천․용강․명동암) 주민들은 “주민들이 입지 후보지를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 설명회 개최는 무의미 하다”며 강하게 반발, 앞서 예정된 5번의 설명회가 무산됐다. 5일 예정된 구좌읍 동복리 설명회 역시 주민들이 참석을 거부하면서 설명회를 개최하지 못했다.
정동면 동복리장은 “혐오시설을 마을에 유치할 순 없는 것 아니냐”며 “최근 마을 임시총회를 통해 반대 입장을 정했기 때문에 설명회도 참석할 이유도 없다”고 밝혔다. 이후 예정된 교래리와 북촌리 역시 ‘우리 마을은 안 된다’며 매립장 문제에 난색을 표하면서 오는 2017년까지 사업을 마무리하겠다던 제주도의 계획도 난항이 불가피 해 보인다.
제주도 관계자는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설명회가 무산되면서 남은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다”면서 “현재로선 대안은 없다. 설명회를 열어야 다음 일정을 진행 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빠른 시일 내 2차 주민설명회를 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이날 오전 조천읍 와흘리 전원마을 주민들이 제주도청을 항의 방문, “예정대로 매립장을 이전해 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현 매립장과 가장 가까운 마을 중 하나인 전원마을 주민들은 그동안 매립장 조성 이후 마을이 생겼고, 행정구역이 다르다는 이유로 별다른 민원을 제기하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달 제주시 환경시설관리사무소에서 숙성이 덜 된 음식물 쓰레기 약 500t을 마을 인근 바늘오름 앞 초지에 쌓아 두기 시작하면서 주민들은 행정을 향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 쓰레기 문제에 적극적인 반대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김태민 비상대책위원장은 “보관할 곳이 부족하단 이유로 환경 파괴행위를 일삼는 행정의 무책임한 태도에 분노를 느꼈다”면서 “앞으로 음식물쓰레기 무단 투기 문제와 함께 매립장 이전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후보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는 아직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내놓지 못하면서 문제 해결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비난을 자초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