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드디어 한동주 전(前) 서귀포 시장이 발설한 이른바 우근민 지사와의 ‘내면적 인사 거래설’에 대한 수사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민주당이 한동주 전 시장과 우근민 지사를 공직선거법 위반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기 때문이다.
한동주 전 시장의 ‘내면적 인사 거래 발언’을 요약하면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우근민 지사가 내년 지방선거에서 당선 되면 자신이 시장을 더 오래 하기로 했다”는 것이 그 하나요, 그렇게 되면 자신의 모교인 “서귀포고 동문 공무원들을 끌어 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업하는 분들에게 일거리를 하나라도 더 줄 수 있다”는 것이 그 둘이다.
앞으로 두고 보면 알겠지만 검찰이 한동주 전 시장의 ‘내면적 인사 거래’ 발언을 수사하기가 그렇게 녹록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이미 예상한대로 한동주 전 시장은 발언 사실은 시인하면서도 발언의 진정성에 대해서는 “말 실수였다”는 식으로 부인하고 있다. 우근민 지사 역시 여러 경로를 통해 “인사거래를 한 적이 없고 나는 모르는 일”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만약 ‘내면적 인사 거래’ 발언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두 당사자가 입을 맞춘다면 검찰 수사도 벽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 도민사회 일각에서 조속히 압수수색을 실시하라고 요구하는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한동주 전 시장의 ‘내면적 인사거래’의 진실을 밝혀 낼 답(答)을 전혀 찾아 낼 수 없는 것은 아니다. 한동주 전시장이 쥐고 있는 인사파일 정보 제공처와 제공자를 찾아내 조직적 관여 여부를 밝혀낸다면 답의 실마리를 풀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인사파일 정보 유출 의심을 받아 오던 서귀포시 총무과는 일체 부인하고 있다. 그렇다면 시청 내 각 기구별 협조자 내지 동조자가 있어 수 백 명에 이르는 공무원들의 출신 학교별, 직급별 신상명세가 시장의 손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의혹을 살 수도 있다. 시민사회단체에서 ‘내면적 인사 거래’를 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인 것 같다는 의혹을 제기 한 것도 그 때문이다. 한동주 전 시장은, 실무자도 인사서류를 분석하지 않으면 알지 못할 출신 학교 별 서귀포시 6급 이상 공무원 자료를 정확히 파악, 모교 동창회에서의 우근민 지사 지지 유도용으로 활용한 것이다. 검찰이 수사 초점을 맞춰야 할 사안 중의 하나가 바로 인사파일 정보의 조직적 유출-동조 여부다. 거기에서 이번 사건의 정답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