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으나마나 문제의 축사를 한 한동주 시장이나 우근민 지사는 ‘내면적 거래’ 설(說 )을 부인할 것이 틀림없다. “말실수를 했다”거나 “전혀 모르는 일”이라고 부인 할 것이다.
그러나 대다수 도민들은 한동주 시장 축사 내용을 더 믿을 것이다. 우선 시민사회단체부터 그렇다. 경실련, 심지어 서귀포시 공무원노조까지도 우근민 지사 소환조사 혹은 조직적이라며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민주당은 이번 사건을 아예 ‘현대판 매관매직’이라고 규정지으면서 선관위와 검찰의 엄중한 조사와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심지어 일반 도민 중에는 증거인멸 전 압수수색을 주장하는 측도 있다. 그렇잖아도 우(禹) 지사 지지자 17000명 무더기 새누리당 입당 원서 제출을 둘러싸고 가짜 입당원서니, 공무원부인 동원이니 하는 설(說)이 떠돈 직후여서 도내 정가가 더욱 혼란스러워지고 있다.
이번 사건을 큰 탈 없이 매듭짓기 위해서는 논란 선상(線上)에 있는 우 지사 본인의 ‘지방선거 불출마 선언’이 필요하다. 그 이유로는 선거 중립을 훼손한 한동주 시장의 잘못에 우 지사도 직속 상관으로서 공동의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우 지사는 자신의 철학이요 소신인 듯 “선거에 개입하는 공무원이 있을 때는 즉각 퇴출시키겠다”고 거듭 강조해 왔다. 그리고 “비위를 저지르는 공무원이 있을 때는 상급자도 함께 책임을 묻겠다”고 대도민(對道民) 약속을 해 왔다. 우 지사는 적어도 후자(後者)의 경우에 해당 된다고 본다. 자신의 지휘 하에 있는 도내 최고위층 공무원이 자신의 출마와 관련, 선거 중립성을 크게 훼손했다면 공동의 책임을 지고, 지사직은 유지하더라도 ‘내년 지방선거 불출마 선언은 당연히 해야 옳다. 바로 그것이 한동주 시장 사태를 슬기롭게 해결 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요, 우 지사 자신을 위해서도 현명한 길이다.
만약 그렇지 않을 때는 지방 선거를 앞둔 6개월 동안 어떤 일이 벌어질지 예측하기 어렵다. 검찰과 선관위도 우지사가 불출마 선언을 하지 않을 경우 ‘한동주 시장 사건’을 다룸에 있어 스스로 신뢰를 떨어뜨리는 일이 없도록 공명정대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