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청년들 이어도 하늘지킴이 나섰다
제주 청년들 이어도 하늘지킴이 나섰다
  • 김동은 기자
  • 승인 2013.12.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中 방공식별구역 선포는 우리 주권 무시한 처사”
이어도청년지킴이·제주지역 청년 강력 대응 촉구

▲ 이어도청념지킴이와 제주지역 청년 407명이 2일 오전 10시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중국의 일방적인 방공식별구역 선포에 대해 정부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하며 “제주인의 정체성이자, 한국인의 자존심인 이어도를 지키는 데 적극 앞장서겠다”고 밝히고 있다. 고기호 기자
[제주매일 김동은 기자] 중국이 일방적으로 설정한 방공식별구역에 제주도민들의 이상향인 ‘이어도’ 상공이 포함, 도민사회의 반발(본지 11월26일자 1면 보도)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이어도청년지킴이와 제주지역 청년들이 이어도 영유권 수호 의지를 밝히고 나섰다.

이어도청년지킴이(회장 이성재)와 제주지역 청년 407명은 2일 오전 10시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중국의 일방적인 방공식별구역 선포에 대해 정부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하며 “제주인의 정체성이자, 한국인의 자존심인 이어도를 지키는 데 적극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중국이 지난달 23일 이어도 해역의 상공이 포함된 방공식별구역을 선포해 한반도를 충격에 빠뜨리고 우리 국민들을 분노케 했다”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과 미국 정부까지 나서 중국이 선포한 방공식별구역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지난달 28일 열린 제3차 한·중 국방전략대화에서 우리 정부의 방공식별구역 재조정 요구를 공식 거절했다”며 “동아시아 해역을 불안 정국으로 몰아넣은 중국의 이번 처신은 비판받아 마땅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특히 “이번 사태가 우리 제주인의 영원한 이상향인 이어도를 놓고 중국과 갈등을 벌인다는 점에서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며 “바다의 경계가 그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이 하늘의 경계를 긋겠다고 선언한 것은 분명한 외교적 결례이자, 우리의 주권을 무시한 처사”라고 맹비난했다.

그러면서 “이어도의 관할권이 우리에게 있는 만큼 중국의 일방적인 방공식별구역 선포를 인정할 수 없다”며 “정부는 적절한 조치와 더불어 영공은 물론 해양 주권 수호에 만전을 기해야 하고, 제주도의회는 계류 중인 ‘이어도의 날’ 조례를 이번 정례 회기에서 반드시 처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정부는 방공식별구역을 현재 우리가 관할하고 있는 비행정보구역(FIR) 수준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비행정보구역은 방공식별구역 보다 범위가 넓어 이어도는 물론 마라도 상공 등을 포함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