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자·인부 안전사고 책임론 부상
[제주매일 김동은 기자] 재선충병에 감염된 소나무 고사목 제거 작업 현장에서 안전사고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또 다시 인부 1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더구나 첫 번째 사망자가 나온 지 불과 보름여 만에 다시 사망자가 발생한 것이어서 제주도의 미흡한 안전사고 예방 대책이 인명 피해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제주도 소방안전본부와 경찰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오전 10시41분께 제주시 오라2동 오라대교 인근 하천에서 고사목 제거 작업을 하던 조모(64)씨가 나무에 깔려있는 것을 동료 송모(55)씨가 발견, 119에 신고했다.
이 사고로 조씨가 크게 다쳐 119구급대에 의해 인근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으나 낮 12시20분께 결국 숨졌다.
이날 고사목 제거 작업에는 조씨를 포함한 인부 6명과 제주도청 소속 현장 감독관 1명이 참여했다. 조씨는 잘려 나간 뒤 하천 석축에 걸쳐진 3그루의 소나무 가지를 치는 과정에서 쓰러지는 나무에 몸이 깔렸다.
사고가 났을 당시 나머지 인부들과 현장 감독관은 다른 곳에서 작업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현장 관리·감독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조씨의 작업이 진행된 것이다.
동료 송씨가 조씨를 발견했을 땐 높이 5~6m, 지름 50cm 크기의 나무에 깔린 채 머리만 보이는 상태였으며, 안전모는 착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앞선 지난달 28일에는 제주시 오등동에서 소나무 고사목 제거 작업을 하던 북부산림청 영림단원 소속 최모(49)씨가 쓰러지는 나무에 다리가 깔려 오른쪽 발목이 골절되는 부상을 입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지난달 8일에는 제주시 애월읍에서 고사목 제거 작업을 하던 공공근로자 박모(63)씨가 쓰러지는 나무에 머리를 맞아 사고 발생 닷새 만에 숨진 바 있다.
지난 10월 15일 제주시 아라동에서 자생단체 회원 김모(62·여)씨가 쓰러지는 나뭇가지에 맞아 척추가 골절되는 사고가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재선충병 감염 고사목 제거 작업 과정에서 2명이 숨지고 9명이 중·경상을 입는 등 인명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
문제는 제주도가 내년 4월까지 고사목을 전량 제거하기로 하고 자원봉사자를 포함한 하루 평균 1000명에 가까운 인력을 동원하는 등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으면서도 정작 안전사고 예방에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현장 감독관이 작업 현장에서 실시하는 안전교육이 형식적 수준에 그치고 있는 데다 안전모 등 보호장비 착용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감독이 이뤄졌다면 사고를 사전에 막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제주도의 책임론도 계속해서 불거지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열악한 작업 환경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에도 불구, 이를 예방하기 위한 행정의 의지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마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제주도 관계자는 “고사목 제거 작업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계속 발생해 안타깝다”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현장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