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도민 상공인대회' 명칭 변경...보조율 높이기 '꼼수'
'재외도민 상공인대회' 명칭 변경...보조율 높이기 '꼼수'
  • 김지석 기자
  • 승인 2013.1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매일 김지석 기자] 제주도가 ‘글로벌 제주상공인대회’를 ‘글로벌 재외도민 상공인대회’로 명칭을 변경한 것을 두고, 사업 보조비 비율을 높이기 위한 ‘꼼수행정’이라는 지적이다.

이는 단순 명칭 변경을 통해 사업 보조율이 50%에서 취약계층 등에 적용되는 90%로 변경되기 때문이다.

27일 열린 제주도 산업경제국에 대한 제주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위원장 김희현)의 예산안 심사에서 내년 9월 열리는 제4회 글로벌 재외도민 상공인대회가 도마에 올랐다.

김희현 위원장(민주당, 일도2동 을)은 “2009년부터 개최되고 있는 ‘글로벌 제주상공인대회’의 명칭이 내년부터 ‘글로벌 재외도민 상공인 대회’로 변경됐다”며 “‘재외도민’이란 뜻을 알고 명칭을 변경한 것이냐”며 이 문제를 집중 추궁했다.

김 위원장은 “사업 명칭을 ‘재외도민’으로 변경한 것은 예산지침 보조금 매뉴얼에서 ‘재외도민’ 사업 보조율이 90%라는 점을 이용하기 위해 변경한 것 아니냐”며 “사업주요 내용은 그대로 둔 채, 명칭만 변경해 보조율을 높이겠다는 것은 ‘눈 가리고 아웅식’ 대처”라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제주를 대표하는 MICE 행사로 키우기 위해서는 보조율을 높일 것이 아니고 사업 예산을 올려 보조율 50%로 추진해야 한다”며 “취약계층 등의 사업도 아닌데 사업비 보조금을 90%의 비율로 추진하면 말썽이 나지 않겠느냐”고 꼬집었다.

김 위원장은 또 “사업비 2억원의 자부담은 2000만원으로, 추경에 사업비 2억원을 더 요구해 사업비 4억원으로 만들어 놓고는 자부담 4000만원에 추진 할 것이냐”고 몰아붙였다.

이에 대해 김진석 제주도 산업경제국장은 “그동안 3회까지는 국내와 가까운 일본 정도까지 해서 행사를 개최했는데 이번에 재단법인을 설립해 국제행사로 키우기 위해 대회 명칭을 변경한 것”이라며 “며 “세계중심 제주로 도약하기 위한 제주의 대표적인 행사로 만들기 위한 점을 고려해 달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