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도내 한 지역농협의 조합장과 상무를 보조금법 위반 및 사기 등의 혐의로 정식 재판에 넘겼다. 이에 앞서 검찰은 최근 이 농협 관재담당 직원과 기계설비업자 등 2명을 구속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해 마늘가공공장 리모델링 사업을 하면서 소도읍 육성사업비로 투입된 기계설비 보조금 25억원 가운데 5억원을 다른 용도로 사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 사실 이 농협의 관재담당 직원이 구속될 때부터 이 사건에는 조합이 조직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나 하는 추측이 일었다. 이 문제는 앞으로 재판과정에서 실체적 진실이 밝혀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를 접하는 농민들은 착잡하기만 하다.
올 들어 도내 일부 농협에서 마치 약속이나 한 듯 크고 작은 비리들이 잇따라 불거져 나오면서 농민들을 크게 실망하게 했다. 이처럼 일선 농협에서 반농민적 행태가 불거지면서 결국은 일선 농협에 대한 감시.감독 시스템에 구멍이 뚫린 것은 아니냐 하는 의문이 이어지고 있다.
언제부터인가 조합장 직선제가 시행되면서 중앙회 차원의 감사업무가 크게 위축돼 지역농협들의 비리가 들어설 공간이 넓어졌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조합원들이 직선으로 뽑은 조합장들은 조합운영에 전횡을 휘두르고 또 외부 감시망이 들여다볼 수 있는 틈도 봉쇄, 조직이 썩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묻고 싶다. 정부의 보조금 지원문제로 서귀포시를 비롯한 행정은 물론 생산자 단체인 농협까지 비리의 온상으로 추락하면서 세밑 제주사회를 우울하게 만들고 있다. 진정성이 배인 농협의 반성과 재발 방지책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