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 후보 경선을 불과 6개월 쯤 남겨둔 요즘, 도민사회에서는 ‘세(勢)몰이 식 정당 입당’에 대한 논란이 크게 일고 있다. 그렇잖아도 과거 제주도에서는 한 도의원이 자신의 지지자들을 소속정당에 입당시키면서 당비(黨費)를 대납했다가 사법처리 된 적이 있는 터라, 도민들은 비슷한 사례가 재연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사실, 최근 벌어지고 있는 여-야 정당에의 ‘세몰이 입당’ 사태는 정당의 건전한 발전과 바람직한 정당 정치, 그리고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서도 결코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여-야 정당의 신규 당원 입당 목적이 내년 지방선거 후보 경선에서의 득표를 겨냥한 경우가 많고, 이것이 결국 특정인의 지지자들이 정당을 과점, 사당화 할 우려가 많기 때문이다.
최근 여-야 정당의 내년 지방선거 후보 경선 예정자 중에는 3~4천 명의 신규 당원을 가입시키는 것은 예사다. 심지어 새누리당에 입당원서를 낸 후보 경선 예정자의 경우는 몇 달 사이에 15000명~17000명으로 추산되는 신규 당원을 입당 시켜 세인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렇듯 상식선을 뛰어넘는 신규 세몰이 식 정당 입당 사태가 벌어지자 도민들은 당비 대납으로 사법처리 됐던 과거사를 떠 올리면서 논란을 양산시키고 있다. 믿을 바는 못 되지만 호사가(好事家)들은 인터넷 댓글을 통해 “공무원 부인들이 동원돼 입당원서를 받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인터넷 댓글만이 아니다. 언론 보도들도 심상치 않은 내용들을 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본인이 신청을 하지 않았음에도 당원으로 가입돼 있는가 하면 입당하면 당비를 대납해 주겠다는 제의를 받기도 했다는 것이다. 이뿐이 아니다. 최근 제출된 입당원서 30% 정도가 주소 및 주민등록 번호에 하자가 있다는 내용도 있다. 더구나 당비를 대 주는 쪽은 기업체이거나 관변단체라는 보도도 나온다.
이러한 보도들이 사실이 아니기를 바라지만,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정당과 후보경선 지망자는 물론, 꼬임에 넘어간 도민에게도 문제가 없지 않다. 자신의지지 세력을 억지로 모아 세몰이 식으로 입당시는 것 자체가 타기해야 할 일이다. 그것은 정당을 사당화(私黨化)하고, 정당 정치, 민주 정치에도 역행하는 결과가 된다. 선거관리 위원회는 최근 벌어진 세몰이 입당 사태에 대해 냉철한 혜안으로 주시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