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병 같은 공원 비리가 또 터졌다. 이번엔 제주시청이다. 제주도청 40대 여성 공무원의 2억4000만원대 공금횡령과 해경(海警)의 강모 경위 뇌물 혐의가 밝혀진지 불과 한 달만이다.
이번에 터진 공무원 비리는 제주시청 건설과 소속의 예산-회계 담당 기능직 8급에 의해 저질러졌다. 일상 경비에서 수백만 원을 횡령한 뒤 사표를 제출한 것이다. 경찰의 수사 결과에 따라서는 횡령 액수가 더 불어날지도 모른다.
지탄 받아야 할 대상은 첫째 공금을 횡령한 당사자이지만 이를 은폐하려는 듯 한 모습을 보인 제주시 당국도 비판의 대상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소속 공무원이 공금을 횡령했다면 상급자들은 당연히 이러한 사실을 자체 감사부서에 즉각 알리고 제주도 감사위원회와 수시기관에도 당연히 조사를 의뢰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에 앞서 횡령 공무원의 사표부터 수리해 사건을 덮으려한 의혹이 짙다. 이로 인해 자체 감사부서는 물론 도 감사위, 수사 기관까지도 사건이 표면화 된 뒤에야 알았다.
제주도 공직 사회의 지도-관리 책임 석, 즉 상층부의 자세가 이러한데 일부 공무원 층에 비리가 유행병처럼 번지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제주도가 청렴도 전국 꼴찌를 기록한 이후에도 아무런 반성 없이 공무원 비리가 계속되고 있어 하는 얘기다. 지난해의 건축 민원 관련 1억원 뇌물, 상하수도 특별회계 7000만원 유용에 이어 올해에도 도로공사 관련 뇌물, 시간외 근무수당 횡령 등이 모두 공무원들이 저지른 비리들이다.
이러한 마당에 이번에는 제주도청과 제주시청 공무원의 횡령 사건이 잇따라 밝혀졌으니 대다수 선량한 공무원들에게 누가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제주도는 공무원 비리가 터진 후에 청렴 결의대회니 뭐니하면서 도민에 대한 면피(免避)용 행사나 하려들지 말라. 현재의 제주도 행정 시스템만으로도 공무원비리를 예방하고도 남는다. 문제는 상급자에 해당하는 간부들이 이 시스템을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나태하고 있다는 데 있다. 이번 제주시의 사건 은폐 의혹이 그러한 예다.
작-금년(昨-今年) 돌아가는 제주도 공무원 사회를 보면서 상탁하부정(上濁下不淨)이 떠오른다. 윗물이 탁했으니 아랫물이 맑지 못한 것은 아닌가.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