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에 의해 구속 된 40대의 제주도청 여성 공무원의 횡령 규모가 예상을 크게 뛰어 넘고 있다. 20여일 전, 이 여성공무원의 비리가 잡혔을 당시만 해도 횡령 규모가 수천만 원 선인 것으로 알려졌었다.
그러나 경찰의 수사가 확대 되면서 그 규모가 불어나 구속 될 쯤에는 횡령액이 무려 2억4131만원에 이른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 수사결과 그녀는 2011년부터 올해 7월30일까지 제주도청에 근무하면서 240회에 걸쳐 보관 중인 공금을 비롯, 은행예치 공금을 인출해 가로챘는가 하면 법인커드를 무단 사용해 상품권을 사 들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런데 그녀의 횡령 대상이 자신이 담당한 업무 영역을 최대한 악용할 수 있는, 보관했던 공금 및 은행 예탁 공금과 법인카드라는 점에서, 그리고 범행 횟수가 무려 240회라는 점에서 상급자의 관리 감독만 철저했더라도 예방할 수 있었거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을 것이다.
특히 그녀의 횡령 수법도 상급자가 관심만 가졌다면 사전 감지할 수 있는 것들이다. 인감-비밀번호-아이디의 도용, 예금청구서 혹은 물품 구매서의 허위 작성 내지 조작, 법인 카드의 사용(私用) 등은 그녀뿐 아니라 다른 범죄자들도 흔히 쓰는 잘 알려진 수법이기 때문이다.
경찰이 지적했듯이 예산 편성부서와 집행부서의 분리 원칙만 지켰더라도 막을 수 있었을지 모른다. 상급자의 자리가 책상에서 결재나 하라고 주어진 것이 아니다. 직원들의 지도.관리 감독이 더 중요하다.
이번 여성 공무원 횡령사건에 상급자들의 책임은 없는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