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대다수 감귤농가들이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에 대해 긍정적 의견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유통명령 재시행시 품질등급 등 규제 정도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2003년 감귤유통명령제에 대한 종합평가 연구용역을 수행한 제주발전연구원이 감귤농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밝혀졌다.
설문조사 결과, 도내 감귤 농가의 76.1%가 ‘감귤유통명령제 2004년 재도입’에 찬성하고 있으며 ‘반대의견’은 23.9%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유통명령제를 처음 시행해 본 결과, 감귤농가들이 이 제도로 인해 ‘고품질 감귤출하’ ‘출하량 조절’ 등 좋은 효과를 가져올 것이란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런데 감귤농가들은 유통명령제를 재도입할 경우 당.산도 품질등급 및 왁스코팅금지 도입 등 규제를 더욱 강화해야 된다는 의견을 보여 관심을 끈다.
유통명령 재도입시 ‘당도 산도 등 품질등급을 추갗하는 것에 대해 ‘매우 긍정적’ 23.7%, 다소 긍정적 54% 등 긍정적인 답변이 77.7%에 달했다. 또 ‘왁스코팅 금지 조항 삽입’에 대해서도 감귤농가의 72.8%가 찬성 의견을 보였다.
이는 감귤농가들이 2003년에 시행된 1번과 및 9번과 비상품분류 등 ‘크기에 의한 기준’에 대해 일정정도 불만을 갖고 있는데, 크기보다는 ‘품질등급’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분석된다.
제주농협 감귤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올해 감귤유통명령 재도입 여부는 오는 25일께 있을 도농업기술원 감귤생산량 조사결과 발표에 좌우될 것”이라고 전제, “만약 생산량 관측이 2003년산 이상 수준이 된다면 감귤협의회에서 유통명령 재도입 추진이 불가피하고, 이 때 품질등급 등을 내용에 삽입하는 문제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