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총장 임명지연과 직무대행체제가 장기화 함에 따라 각종 억측이 난무하고 있다.
제주대학교는 지난해 12월, 4년 임기의 총장선거를 실시했다. 교수와 직원의 직접선거였다.
제주대학교 교수회와 대학 선거관리위원회는 당시 이 선거와 관련 “선거운동 과정에서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을 악용, 계획적이고 야비한 흑색비방이 인터넷을 통해 학내외에 유포됐고 이것이 당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전제, 검ㆍ경에 사이버 비방에 관한 수사를 의뢰했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총장 임기개시일이 지났는데도 총장 임명이 지연되고 있다.
이 때문에 대학내외에서는 사이버 수사과정에서 총장임명을 못할 만큼의 중대한 문제가 나타난 것이 아니냐는 의문과 함께 입장이 다른 교수들 사이에서 각종 비방과 억측이 난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깨끗한 선거문화를 정착시키고 이를 사회의 귀감으로 삼으려는 대학사회의 진통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분위기가 장기화 한다면 대학은 물론 지역사회 발전에도 별로 도움은 되지 못할 것이다.
우리가 본란을 통해 총장선거와 관련한 사이버 명예훼손 사건을 철저히, 그리고 가급적 빨리 수사하고 관련자들을 일벌백계로 다스려야 한다고 주문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경찰과 검찰은 이 사건을 철저히 파헤쳐 야비한 인터넷 공격을 차단하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 수사 결과에 따라 총장 임명 등 교육부의 제주대학 학사 일정을 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3개월가까이 계속되는 수사에 도민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렇지 않아도 질질끄는 검ㆍ경의 수사에 이상한 억측과 비아냥이 계속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