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주소체계인 도로명주소가 내년 전면 시행되는 가운데 우편물에 도로명주소를 표기한 비율은 제주지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진선미 의원(민주당)이 우정사업본부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 들어 7월 말까지 우편물 4억7262만건 가운데 도로명주소를 적었거나 도로명주소와 지번주소를 함께 표기한 비율은 16.19%, 7652만건에 그쳤다.
우편물의 도로명주소 사용률은 작년 말 13.69%에서 올들어 7월 말까지 2.5% 포인트 증가하는데 그쳤다.
지역별 도로명주소 사용률은 우편물 수취인 기준 제주가 30.22%로 가장 높았다. 이는 전국 평균에 비해 갑절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이어 강원(18.61%), 충청(17.69%), 전북(16.40%), 경기도.인천(16.30%), 서울(15.68%), 부산(15.48%) 순이었다. 13.69%에 머문 경북이 가장 낮았다.
특히 제주지역의 경우 지난해 말 우편물 도로명주소 사용률이 14.69%에 불과했지만, 7개월 동안 15.53%포인트나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여전히 도로명주소 사용률이 절반에 미치지 못하지만, 전국 시.도 가운데서는 가장 높았다.
이 기간 전국평균은 2.5%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편 안전행정부가 올해 6월말 시행한 대국민 설문조사에 따르면 '도로명주소에 대해 알고 있다'는 응답자는 93.1%였지만 '우편물.민원서류발급.길찾기 등에 도로명주소를 활용해 봤다'는 응답자는 23.4%에 불과했다.
이와 관련, 진선미 의원은 "새주소 전면 시행이 4개월 앞으로 다가왔지만, 국민들은 아직도 도로명주소를 생소해하고 선뜻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새주소 시행에 따른 국민적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