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단은 출발시점부터 분야별 성과목표와 기본방향을 정하고 이를 시설 개보수, 프로그램 개발 등 체전 전반에 적용함으로써 성과를 극대화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기획단은 직원 간 토론을 거쳐 크게 경제, 문화, 환경, 화합의 측면에서 달성할 목표를 정했다.
먼저 경제적으로는 총 792억원을 투자, 주요 10개 경기장과 36개 소규모 체육시설을 신축 또는 보수하되, 체전 이후 활용 면에서 효율성과 주민 편의성을 최대한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종합경기장 등 주요 경기장의 경우 종합 안전진단 결과를 반영, 시설의 안전성을 제고하되 전지훈련 유치 확대가 가능토록 각종 편의시설을 보완하고, 배드민턴, 게이트볼, 승마 등 생활체육인들의 이용 편의성을 최대한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읍면 체육관 등 소규모 체육시설은 설계 시점에서부터 실제 이용하고 있는 체육인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설계 및 보수공사에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전국체전 참가자 및 동반 관광객에 특화된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해 전통시장 체험, 지역특산물 판매 등과 연계를 통해 지역 경제 파급력을 극대화한다는 목표다.
문화적으로는 개‧폐회식 행사 등에 제주의 공연자원을 총 동원, 제주 공연자원의 역량 을 높이고 전국화를 위한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다.
내년 체전은 친환경체전으로 만들겠다는 각오다. 유네스코 3관왕, 7대 자연경관으로 선정된 제주 자연의 우수성을 깊이 체험할 수 있도록 시각적 홍보수단, 생태탐방 등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체전 자체의 친환경성도 추구하여 체전에 소요될 물품의 구입과 제작은 친환경적인 제품과 사회적 기업의 제품 등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기본방향을 설정했다.
이와 함께 도민 및 국민의 참여를 확대, 화합체전을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개‧폐회식 등에 관객이 아닌 공연 주체로서의 도민 참여를 높이고, 제주 전역에서 경기가 열리는 점을 활용해 경기 관람과 특산물 판매 등 경제적 참여를 계획적으로 관리, 동원을 최소화하는 효과도 동시에 거둘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기획단 관계자는 “설정된 기본방향이 각 실‧국별로 수립되는 세부 실행프로그램에 반영, 구체화 시킬 계획”이라며 “체전기획의 컨트롤 타워로서의 역할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문화․경제․친환경․화합 체전
도 전국체전기획단, 제95회 전국체전 방향 제시
내년 제주에서 개최되는 제95회 전국체육대회 준비를 총괄하는 전국체전기획단(이하 기획단)에서는 준비 과정에서부터 무엇을 성과로 남길 것인가를 명확히 하고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한다고 5일 밝혔다.
기획단은 출발시점부터 분야별 성과목표와 기본방향을 정하고 이를 시설 개보수, 프로그램 개발 등 체전 전반에 적용함으로써 성과를 극대화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기획단은 직원 간 토론을 거쳐 크게 경제, 문화, 환경, 화합의 측면에서 달성할 목표를 정했다.
먼저 경제적으로는 총 792억원을 투자, 주요 10개 경기장과 36개 소규모 체육시설을 신축 또는 보수하되, 체전 이후 활용 면에서 효율성과 주민 편의성을 최대한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종합경기장 등 주요 경기장의 경우 종합 안전진단 결과를 반영, 시설의 안전성을 제고하되 전지훈련 유치 확대가 가능토록 각종 편의시설을 보완하고, 배드민턴, 게이트볼, 승마 등 생활체육인들의 이용 편의성을 최대한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읍면 체육관 등 소규모 체육시설은 설계 시점에서부터 실제 이용하고 있는 체육인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설계 및 보수공사에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전국체전 참가자 및 동반 관광객에 특화된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해 전통시장 체험, 지역특산물 판매 등과 연계를 통해 지역 경제 파급력을 극대화한다는 목표다.
문화적으로는 개‧폐회식 행사 등에 제주의 공연자원을 총 동원, 제주 공연자원의 역량 을 높이고 전국화를 위한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다.
내년 체전은 친환경체전으로 만들겠다는 각오다. 유네스코 3관왕, 7대 자연경관으로 선정된 제주 자연의 우수성을 깊이 체험할 수 있도록 시각적 홍보수단, 생태탐방 등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체전 자체의 친환경성도 추구하여 체전에 소요될 물품의 구입과 제작은 친환경적인 제품과 사회적 기업의 제품 등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기본방향을 설정했다.
이와 함께 도민 및 국민의 참여를 확대, 화합체전을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개‧폐회식 등에 관객이 아닌 공연 주체로서의 도민 참여를 높이고, 제주 전역에서 경기가 열리는 점을 활용해 경기 관람과 특산물 판매 등 경제적 참여를 계획적으로 관리, 동원을 최소화하는 효과도 동시에 거둘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기획단 관계자는 “설정된 기본방향이 각 실‧국별로 수립되는 세부 실행프로그램에 반영, 구체화 시킬 계획”이라며 “체전기획의 컨트롤 타워로서의 역할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