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침략역사 왜곡-독도 영유권 억지주장
제주섬 ‘抗日분노’ 들끓어
제주시, “교류중단 검토” 자매결연 도시에 서한발송
“악의적 망동 중단하라” 항의문.성명서 등도 잇따라
경찰, 日영사관 경비강화
일본 시마네(島根)현 의회가 한국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결국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이름)의 날’을 정하는 조례안을 가결시켜 한.일간 감정의 골이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제주지역에서도 곳곳에서 이에 항의하는 목소리기 높아지고 있다.
양국간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으로 한.일관계가 악화되면서 일본의 독도를 자국영토로 주장하는데 대한 반발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와카야마.벳푸시에 서한
제주시는 17일 일본 시마네현 의회가 ‘독도의 날 조례’를 가결시킴에 따라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는 김영후 시장의 서한문을 일본 자매결연도시인 와카야마시와 우호협력 도시인 벳푸시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제주시는 이 항의 서한에서 독도는 대한민국의 공유한 영토로서 이번 시나네현의 부당한 행위에 대해 30만 제주시민은 심각하게 반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제주시는 독도의 날 지정조례 가결과 역사 교과서 왜곡 등으로 양 시시간 지금까지 쌓아온 우호관계가 흔들리지 않도록 성의있는 자세와 조치를 취해줄 것을 이들 도시에 요구한 뒤 앞으로 제주시의회 등과 협의를 통해 이들 지역과 교류 중단 등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자유총연맹 광복회 항의
한국자유총연맹 제주도 회원들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역사 교과서 왜국은 대한민국의 주권과 존엄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고 한.일 우호관계를 저해하는 악의적 망동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자유총연맹 제주도회원들은 16일 일본은 독도 영유권 주장과 역사왜곡을 통해 우리 민족과 역사를 모욕하지 말 것과 일본이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한.일 선린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이날 이같은 항의문을 일날 일본 영사관에 전달했다.
광복회제주지부도 이날 성명을 발표하고 “일본은 과거의 침략을 미화하는 제국주의적 역사왜곡과 시마네현 의회의 행동을 중지시키라”고 촉구했다.
또 독도는 일본땅이라고 주장했던 다카노 주한 일본대사에 대해서도 송환해 문책할 것도 요구했다.
광복회제주지부는 “아시아 피해 민족들의 지탄과 충고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침략과 만행 등 온갖 죄행을 뉘우칠 줄 모르는 일본의 거듭되는 망동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경찰 경비인력 대폭 늘려
한편 경찰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역사 왜국 등에 항의하는 집회 및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제주시 노형동 소재 재제주 일본국총영사관 주변에 경찰이 추가 배치돼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제주지방경찰청은 평상시 2명이 경비근무를 서던 재제주 일본국총영사관 주변에 16일부터 1개 소개를 배치, 경비근무를 서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