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FTA(자유무역협정) 7차협상을 앞두고, 도내 농업인 단체가 제주농업의 막대한 피해를 우려하며 협상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제주도농업인단체협의회(회장 고문삼)는 2일 제주도농어업인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중국농산물이 이미 한국 농산물 시장에서 70%를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관세장벽마저 파괴된다면 한국 농업의 붕괴는 불을 보듯 뻔하다”고 우려했다.
제주농단협은 “정부는 이번 7차 협상에서 한·중FTA 1단계 협상이 마무리될 것이라고 밝히며 농업인들의 목을 조이고 있다”며 “제주농업인들은 사생결단의 각오로 한·중FTA 협상을 막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제주농단협은 특히 “국내 우수 정책연구원들이 제시하는 농업피해액을 일일이 거론하지 않더라도 중국농산물로 인해 한국농업이 붕괴될 것이라는 것쯤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라며 “정부의 계획대로 한·중FTA 협상이 진행된다면 농업의 붕괴는 시간문제이고, 이는 농업과 농업인의 문제를 넘어 전 국민적, 전 국가적 위기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한·중FTA로 농업인이 중국으로부터 얻어낼 수 있는 것은 단 하다도 없다”며 “수입농축산물의 홍수로 우리 농업은 지금도 절대절명의 위기에 처해 있으며, 중국의 불량 농산물의 수입은 국민의 건강권마저 해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제주농단협은 “제주는 지난 여름 가뭄피해로 생존의 벼랑 끝에 몰려있지만, 정부는 농민들의 생존권보장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도 마련해 주지 않고 있다”며 “이 같은 상황에서 중국산 농산물이 물밀듯 들어온다면 제주농업은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농단협은 “농업의 주인은 농업인인데도 주인을 배제하고 정부 마음대로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는데 대해 농업인들은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생존권을 걸고 한·중FTA를 막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중FTA 7차 협상은 3일부터 5일까지 중국 웨이팡에서 개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