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당장 진보당이 참가하는 촛불집회에 불참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는 등 발 빠르게 대처하는 모양새다.
진보당이 이번 수사를 '촛불세력에 대한 탄압'으로 규정하고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과 관련한 촛불집회 수위를 높이려는 상황에서 민주당이 집회에 참여하면 '종북' 논란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특히 민주당이 국정원의 대선개입 사건과 관련해 장외투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진보당에 대해 어정쩡한 입장을 취할 경우 여당으로부터 역공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하고 있다.
김한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워크숍에서 "이제까지 알려진 혐의가 사실이라면 용납할 수 없는 충격적 사건"이라며 "어처구니없는 발상이 사실이라면 또 하나의 국기문란 사건으로 철저한 수사가 있어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국정원 개혁이 국민적 요구로 대두된 시점에 불거진 사건이고 국기문란 사건의 당사자로 지탄받는 국정원이 다른 국기문란 사건의 수사 주체가 돼 있는 만큼 이번 사건의 진상이 밝혀지는 추이를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30일 부산에서 시민단체 주도로 열리는 촛불집회에 당 차원의 불참은 물론 의원들에게 참여 자제를 권고하기로 했다. 향후 집회 참여 여부도 국정원의 수사 등 추이를 지켜보며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당의 한 핵심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진보당이 참여하는 촛불집회에 가면 '용공조작' 등의 피켓이 나올 것 아니냐"며 "그렇게 되면 진상 규명도 안 된 상태에서 민주당이 진보당과 뜻을 함께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진보당 트라우마'는 지난해 총선과 대선을 거치며 축적됐다.
민주당은 4·11 총선에서 통합진보당과 야권연대를 이룸으로써 진보당이 원내 제3당으로 발돋움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줬지만 총선 직후 진보당이 비례대표부정선거 의혹과 종북논란에 휩싸이면서 민주당도 '초록동색'으로 몰리며 타격을 입었다.
대선 때도 당시 진보당 대선 후보로 나선 이정희 대표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맹공하면서 민주당 문재인 후보를 지원했으나 일부 강경발언으로 인해 오히려 부동층의 표심이 박 후보로 쏠리며 문 후보는 역풍을 맞은 셈이 됐다.
민주당은 진보당 수사 진행상황을 살피며 당분간 진보당과 거리를 두되 민주당이 추진하는 국정원 개혁의 동력을 잃지 않기 위해 부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