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도의원 선거구획정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추자·우도 주민들이 독립선거구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강력한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혀 이를 둘러싼 후폭풍도 예고되고 있다.
추자면 단일선거구획정 추진대책위원회는 21일 추자와 우도에서 지역대표가 선출될 수 있도록 별도의 독립된 선거구로 획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준헌 위원장은 이날 오전 제주시청 기자실에서 가진 회견에서 “민의의 전당인 도의회를 구성하는데 있어 단순히 인구의 등가성 논리만 내세워선 안된다”며 이같이 요구했다. 인구가 아닌 ‘면적’의 등가성과 섬이라는 특수성을 인정해 단일선거구로 획정해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그러면서 추자면과 이웃한 전라남도 신안군을 예로 들었다. 그는 “전남 신안은 인구 4만7000명에 14개 읍·면이 있는데, 4개 선거구에서 11명을 선출하는 신안군의회는 대부분 면지역 인구가 2000명 내외”라며 “인구가 적더라도 지역대표를 선출할 수 있는 구조가 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김 위원장은 또 “추자·우도면은 도서라는 특수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변방의 섬’이라는 서러움을 무척이나 많이 겪었다”며 “이런 고통과 서러움이 추자면과 우도면민들에게 강요돼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지방분권을 말로만 하지 말고 행동으로 실천해야 한다”며 “우리의 뜻을 관철시키기 위해 생업을 포기하고 투쟁에 나서겠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 6월 3일 공식 출범한 제주도의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는 내년 지방선거에 적용할 지역선거구 등을 획정, 선거일 6개월 전인 12월 3일까지 결과를 도지사에게 제출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