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공공 심야약국은 모두 12곳으로 올 상반기 이용객만 5000명을 넘어서고 있다. 밤중에 갑자기 의약품을 사야 할 상황이 발생할 경우 약을 살 수 있는 약국이 있다면 그 혜택을 경험해 본 사람은 무엇보다 심야 약국의 소중함을 기억할 것이다. 그래서 심야 공공약국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가 높은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런데 문제는 일부 공공 심야약국을 중심으로 심야에 문을 닫고, 무자격자의 의약품 판매 등 불미스러운 행위가 언론을 통해 외부에 드러나면서 우려의 시선이 발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당연히 이 사업을 시작한 관리청인 제주도의 심야약국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제주도는 이와 관련, 지난달 13일 심야약국 관계자를 대상으로 긴급 대책회의까지 하고 심야약국 운영실태 지도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그러나 제주도의 약속은 현재까지 지켜지지 않고 있다. 지난달 말 점검계획도 탁상계획으로 끝났다. 지난 4월 실태점검 이후 현재까지 단 1차례의 점검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러니 의료행정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가 서지 않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의약품 취급행위는 시민들의 건강과 직접 연결돼 제주도의 생각으로는 한편으로 사소한 문제로 치부될 수 있지만 이를 직접 마주치는 시민들의 입장에선 불안감으로 직결될 수밖에 없다. ‘전국 최초=국정감사 우수정책’으로까지 선정된 공공 심야약국 정책이 단지 사후관리를 제대로 못 했다는 이유로 시민들로부터 불신을 사게 된다면 이는 제대로 된 행정의 역할이라 할 수 없다. 심야 공공약국은 애초 취지대로 투명하고 정직하게 운영돼 시민들이 믿고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시민들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는 제주도의 책임 있는 역할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