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원 불대장은 대정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6세의 어린 나이에 대정읍 신평리 옹기공방에서 처음 옹기장의 길로 들어섰다.
1960년대 후반까지 꾸준히 활동했으나 옹기 수여가 줄어들자 잠시 일손을 놓았었다.
그러다 2000년대에 들어서 제주 전통옹기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점차 증가하면서 제주전통도예학회의 임원 및 회장으로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
그는 성형된 옹기의 마지막 마무리를 담당하는 불대장으로 활약했다.
옹기가마 불 때기 분야에 있어서 최고의 솜씨를 인정받아 지난 2011년 무형문화재 제주도옹기장 도공장으로 인정받았다.
제주도는 고홍수 굴대장, 고원수 도공장, 강신원 불대장이 연이어 별세함에 따라 문화재위원회의를 개최, 무형문화재 기능의 보존․전승에 대한 후속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빈소는 서귀포시 대정읍 하모리 일번지가든에 마련됐다. 발인은 23일 오전 7시며, 신평리 강씨선영에 안장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