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교수가 이번에 발표한 논문은 ‘Outcomes of patients with elevated α-fetoprotein level and initial negative findings at MR imaging(알파 태아단백질 상당한 상승을 보이나 초기 간 자기공명영상에서 음성결과를 보인 환자들의 예후)’다.
알파 태아단백질은 간 세포암의 종양표지자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고, 종양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수치가 증가한다. 하지만 어떤 환자에서는 알파 태아단백질이 증가해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음성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김 교수가 이런 환자들을 추적한 결과 평균 5개월 이내에 59%에서 간 세포암이 발생했고, 특히 알파 태아단백질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경우 간 세포암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김 교수는 자기공명영상을 포함한 영상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오더라도 반드시 집중적인 추적 검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