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군기지 찬반 논란 속 공정율 39%넘어서
제주해군기지 찬반 논란 속 공정율 39%넘어서
  • 김지석 기자
  • 승인 2013.06.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해군기지 공사를 놓고 찬반논란이 여전한 가운데 27일 오전 서귀포시 강정마을 공사현장을 찾았다.

이날 공사현장 입구에 들어서자 레미콘차량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빗방울이 한 두 방울 떨어지는 흐린 날씨였지만 공사 부지를 정비하는 굴삭기와 골재를 운반하는 화물차량들로 제주해군기지 공사현장은 바쁘게 돌아가고 있었다.

바위와 농지였던 공사부지는 어느새 콘크리트 테트라포트로 가득 차 있었다. 공사부지 바다는 메워졌고 연약한 지반은 다져졌다.

바다에는 이날 궂은 날씨로 인해 공사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었지만 곳곳에 공사 관련 바지선 등이 눈에 들어왔다.

특히 공사 부지 서쪽 끝에는 마치 대형 아파트를 연상케 하는 거대한 케이슨 등이 자리 잡으면서 점차 항만의 모습을 갖춰가고 있었다.

서귀포시 강정마을에 들어서고 있는 제주해군기지는 군항과 크루즈 터미널이 들어서는 민.군복합형 관광미항이다.

2015년 완공을 목표로 총 사업비 9805억원이 들어가는 제주해군지지는 기지규모가 49만㎡(매입 29만㎡, 매립 20만㎡)로 함정계류부두와 외곽방파제 크루즈 부대시설 등이 들어선다.

현재 항만 1공구 44%, 2공구 35% 등 항만작업 공정률은 39%를 넘어서고 있다.

공사 사업비 집행은 지난 21일 기준 항만 2454억원, 육산 45억원, 부지매입 및 어업보상 842억원, 관사 등 기타 204억원 등 모두 3545억원이 투입돼 집행율 35.6%를 보이고 있다.

제주해군기지사업단 관계자는 “해군기지가 완공되면 남해를 통과하는 수출입 무역선들이 보다 안전하게 운항하게 되는 것은 물론 복지.편의시설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주민편익 증대효과가 나타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장밋빛 청사진만 있는 것은 아니다. 찬반으로 나눠진 지역주민 갈등 문제가 여전히 부담인 데다 자연 생태계 파괴 부작용도 우려된다.

이날도 공사현장 입구에는 해군기지를 반대하는 강정마을 주민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이 플래카드를 들고 “정부와 해군 등은 절차적 부당성이나 거짓안보 논리 등의 문제에 대해 어떠한 합리적인 명분도 제시하지 않은 채 오직 권력의 힘으로 반대의 목소리를 억누르고만 있다”며 “특히 구럼비와 강정 앞바다를 끊임없이 파괴하는 불법공사를 강행하고 있다”며 해군기지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