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재정상태, “열악-양호” 한지붕 두소리
제주시 재정상태, “열악-양호” 한지붕 두소리
  • 정흥남 기자
  • 승인 2005.03.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사부지 처리 ‘오락가락’

문화재청엔 문화유산등록 반대...“매각”
金 시장 기자간담회...“매각추진 안해”


도대체 제주시 ‘진의’가 무엇이냐.
제주시가 현 시청사 부지 매각과 관련, 시시각각 ‘딴소리’를 하고 있다.
청사 부지매각 등에 장애가 된다면서 본 청사 건물에 대한 근대문화유산 문화재 등록에 공식적으로 반대의견을 표명, 파문 일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매각을 하지 않겠다는 시정 책임자의 발언이 나와 혼선이 가중되고 있다.

문화재청은 지난 1월 문화재위원회 검토를 거쳐 ‘이별의 부산 정거장’을 부른 가수 남인수 선생의 생가 등 전국의 희귀 문화유산 26건을 근대문화유산 문화재로 등록 예고하면서 옛 제주도청사로 지어진 현 제주시청사도 대상에 포함했다.
제주시는 최근 문화재청에 제출한 ‘제주시 청사 근대문화유산 등록 예고에 따른 의견서’를 통해 시청사의 근대문화유산 문화재 등록을 반대했다.

제주시는 의견서에서 “(제주시는)앞으로 시민복지타운 3만9600㎡의 부지에 청사를 조속히 신축하는 등 시민복지타운 활성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열악한 지방재정(재정 자립도 43.2%)을 고려할 때 청사이전과정에서 현 청사부지를 매각, 비용을 조달할 수 밖에 없는 형편”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김영훈 시장은 7일 오전 시청 기자실에서 “청사를 매각하지 않아도 복지타운에 청사를 건립할 수 있으며 현재 청사 매각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에 보낸 제주시의 공식입장과 정반대의 목소리가 튀어 나온 것이다.

△펄펄 뛰는 시민.학계

학계 및 시민들의 시선은 냉랭하다.
강창화 제주도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실장은 “제주시 청사는 역사ㆍ문화적으로 충분히 보전가치가 있는 건물”이라면서 “제주시 전체가 삭막한 빌딩 숲으로 개발되는 상황에서 장기적으로 지금의 청사부지 일대는 시민들을 위한 녹색공간으로 남아 있는게 바람직 하다”고 말했다.

강 실장은 “제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시청사 건물에 대해 문화유산지정 반대 계획은 당장 철회돼야 한다”면서 “설령 제주시가 반대한다고 하더라도 시 청사 건물은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표적 근대관청 건물

제주시청 본청사(옛 제주도청 청사)는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12월에 기공, 다음해 11월 준공한 근대양식의 제주지역 대표적 관청 건물로 대칭성을 배제한 입면과 현관 배치 장식이 인상적인 것으로 학계는 평가하고 있다.
제주시청 본청사는 완공 후 1960년대말까지 제주도에서 세워진 관청건물의 모범이 되었으며 건축적 완성도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일반상업지역인 이곳 부지는 전체면적이 1만5426㎡(4666평)으로 시세는 평당 1000만원선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매각할 경우 일거에 거액을 확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제주시가 ‘부지매각’이라는 저의를 감추기 위해 ‘경거망동’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