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교실' 구축 교육위 최대 쟁점

일부 의원 찬.반 속 각각 다른 설문조사로 대응

2013-06-12     김광호
초.중학교 ‘스마트교실’ 구축사업이 제주도의회 교육위원회의 최대 쟁점이 되고 있다.
최근 이석문 교육의원이 교원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주도교육청은 교사들도 동의하지 않는 스마트교실 사업에 98억 원이나 투입하려고 한다”(본지 6월11일자 5면 보도)며 사실상 반대의 입장을 밝히자, 윤두호 교육위원과 도교육청도 각각 찬성이 훨씬 더 높다는 설문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12일 열린 제307회 도의회 임시회 교육위에서 윤두호 의원은 “스마트교실 교육은 역기능에 대한 보완만 이뤄진다면 매우 좋은 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스마트교실을 운영 중인 초등학교 2개교 교사 1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구축사업의 필요성과 교육효과에 대해 긍정 73%, 부정 11%, 보통 16%로 긍정이 훨씬 더 높게 나왔다”고 밝혔다.
그는 또, “앞으로 이를 운영할 3개 학교(초등 2, 중학교 1) 교사 7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필요성에 대해 긍정 58%, 부정 18%, 보통 24%로 나왔고, 교육효과에 대해서도 긍정 64%, 부정 19%, 보통 17%로 긍정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도교육청도 “지난 11일 스마트교실을 구축할 학교를 대상으로 찬반 여론을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가 110개교 중 찬성 108개교, 반대 2개교로 98.2%가 찬성했고, 중학교도 44개 대상 학교 중 찬성 41개교, 반대 3개교로 93.2%가 찬성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처럼 스마트교실 구축과 관련한 논란이 가열되면서 이번 임시회에서 도교육청이 요청한 관련 추경예산안이 그대로 전액 심의.의결될지, 아니면 계획이 조정될지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교실은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를 연계해 언제 어디서나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 중심의 학습환경 시설이다.
도교육청은 지난 해 시.도교육청 평가 결과 받은 1위 보상금 127억 여 원 중 98억 여 원을 투입해 전도 초.중학교에 이 시설을 각 1교실 씩 구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