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제조업 물류부담 해소 절실

제주상의 조사결과, 섬 특수성 감안 정책지원 확대 필요

2013-05-08     진기철 기자

제주지역 제조기업의 매출액 대비 물류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채산성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이는 제주가 섬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물류비 비중이 타 지역에 대비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 확대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8일 제주상공회의소가 조사한 ‘도내 제조기업에 대한 물류실태 및 애로요인’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대비 물류비 비중이 증가한 업체가 84.8%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중이 10%이상인 기업이 전체 36.5%를 차지, 제조기업의 물류비 부담이 점차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물류비 증가는 운송비와 유가, 인건비의 지속적인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물류서비스 수행형태는 물류전반을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3자 물류로의 전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는 2곳 중 1곳이 자가 및 2자 물류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3자 물류란 기업 자체의 물류부서(1자 물류)나 자회사를 통한 운송(2자 물류)이 아닌 외부회사를 활용한 운송사업을 말한다. 화주기업 입장에서는 이해관계가 없는 제3의 전문 물류업체에 물류활동을 아웃소싱하는 것을 뜻한다.

경쟁사 대비 물류관리수준도 대부분의 업체가 경쟁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 차별화된 물류시스템구축 및 물류시설 현대화사업 등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와 함께 물류 업무와 관련 애로사항으로는 유가상승 등으로 인한 지속적인 물류비 상승이 63.9%로 가장 많았고 이어 물류프로세스 관리미흡(13.4%), 물류전문인력 부족(7.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른 물류지원정책은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한 물류비 지원과 물류표준화에 대한 정책적 지원, 물류전문가 육성프로그램, 공동물류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업 등을 들었다.

이와 관련 제주상의 관계자는 “물류비 부담이 지속적으로 가중될 경우 제조업체의 채산성 및 경쟁력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다”며 “지역 제조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섬 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한 물류비 지원 확대 등의 지속적인 정책적 안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제주는 도서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정부 각 부처마다 이해관계에 따라 도서지역으로 분류하지 않는 등 정부의 물류지원 사업 등에서 배제되는 불이익을 받고 있다”며 불합리한 중앙부처 정책의 개정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