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사국 총회’ 유치 실패 책임 규명을
2013-05-08 제주매일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의 제주유치 실패를 둘러싸고 제주도와 시민사회단체 간에 책임 소재를 놓고 심한 ‘네 탓 공방’을 벌이고 있어 창피하다.
세계 유수의 행사들을 유치하려면 국가끼리는 물론, 지역 간에도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한다. 그것은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도 마찬가지다. 제주도와 도민들이 이 총회를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면 누구를 탓 할 필요가 없다.
차라리 이번 실패를 거울삼아 다른 세계적 큰 행사를 유치 할 때 교훈으로 활용 하는 게 훨씬 현명 한 일이다. 따라서 유치 실패의 이유가 어디에 있든 책임을 따질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만은 유치 실패의 원인과 책임을 반드시 규명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됐다. 유치 주체인 제주도와 시민사회단체가 그 책임이 상대방에 있다며 격하게 남의 탓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단의 발단은 환경부지사의 발언이다. 총회유치 실패 원인 중 하나로 해군기지 반대 운동을 꼽은 것이다.
이에 환경운동 연합과 군사기지범대위는 “제주도의 준비부족과 해군기지 건설 탓이 더 큰데 남의 탓한다”며, “우근민 도정은 잘 안 되면 도의회 핑계, 언론 핑계를 대고 남의 탓 하는 것이 취미”라고 몰아 붙였다.
이쯤 되면 책임 소재가 가려져야 한다. 도의회가 나서든, 감사위가 나서든, 시비가 가려져야 또 다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