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여성가족연구원 보여주기식 토론회 '논란'
지난 6일 도 2청사서 가칭 제주도여성가족연구원 도민 토론회 개최
그러나 이날 토론회는 연구원 설립을 놓고 찬반 의견을 공유하는 자리가 아닌 '보여주기식 토론회'로 진행돼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이날 토론자 대부분은 연구원 설립을 찬성하고 있다. 이들은 토론에서도 설문대여성문화센터 등과 통합이 아닌 분리 운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정작 제기돼야 할 문제점은 방청객들이 지적했다.
김진영 제주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설문대센터와 통합하게 되면 종합적 기능을 수행하게 돼 연구기관으로써 특화된 정체성이 약화된다"며 "본래기능이 축소돼 국비 지원이 어려울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교수는 제주발전연구원 여성정책연구센터 확대방안에 대해서도 "제발연은 여성가족 분야 정책연구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기에는 현실 적합성이 낮다"며 "부설인 여성정책연구센터는 연구의 관점과 사업내용에서 상이하므로 분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정우 제주시다문화가족센터장은 "제주여성들이 기여할 수 있는 정책기관이 있어야 한다는 것에 적극 공감한다"며 "설문대센터는 일반 도민을 위한 문화교육을 하기 때문에 여성정책연구원에 성격을 그대로 키워나가기엔 어렵다"고 설명했다.
허경자 서귀포시 여성발전연대회장은 "60만 제주 인구에 여성은 29만이다. 29만명을 관리하고 있는 사람은 여성정책연구센터장 한명뿐"이라며 "센터장 혼자서 무슨일을 어떻게 하겠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혜숙 제주대 교수는 "설문대센터와 여성가족연구원은 역할과 기능이 서로 다르다"며 "발전연구원은 말 그대로 센터다. 센터는 센터의 규모를 넘어설 수 없다. 때문에 독립적으로 정책을 연구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플로어에서도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고순생 제주도여성단체협의회장은 "여성 관련 기관과 설문대센터의 기능을 하나로 모아 제대로 된 기능을 연구원에 넣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리리 제주여성인권연대 대표는 "그동안 4차례에 걸쳐 토론회를 진행했다. 추상적인 주제발표와 당위성에 대한 토론회를 언제까지 진행할 것이냐"며 "연구원이 무엇을 필두로 사업을 벌이고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가 제주도의회에 제출한 '제주도 여성가족연구원 설립·운영에 관한 조례안'은 현재 심사 보류 상태다.
해당 상임위원회인 복지안전위원회는 연구원의 사업내용이 기존 설문대여성문화센터와 제주발전연구원 여성정책연구센터 등과 중복된다며 통합을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주도가 통합은 안된다는 입장을 고수하자, 해당 조례를 심사 보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