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여성·장애인기업 제품 구입 ‘외면’
제주대병원·관광공사·개발공사 등 의무구매비율 못미처
도내 공공기간의 중소기업제품 구매비율이 기관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여성 및 장애인기업 제품 구매비율은 극히 저조, 업체 발굴 등을 통해 관련 제품에 대한 구매를 확대해 상생 발전을 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7일 광주·전남지방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 6개 공공기관의 중소기업 제품구매비율은 75.6%로 광주·전남·제주지역 평균(88.7%)과 비교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다 제주도개발공사(52.9%)는 법정구매비율(50%)을 간신히 넘기는 등 기관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와 함께 기술개발제품 공공구매실적은 법정구매비율인 10%를 크게 밑돈 4.9%에 그쳤다.
기관별로는 제주대학교병원과 제주관광공사는 구매실적이 없었으며, 제주도개발공사는 0.8%에 그쳤다. 또 제주도는 4.1%, 제주도교육청은 8.4%를 나타냈다. 의무구매비율을 웃돈 곳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16.2%) 한 곳 밖에 없었다.
특히 내막을 들여다보면 여성기업 및 장애인기업제품 구매는 극히 인색했다.
판로지원법에 따라 여성기업 제품은 물품, 용역의 경우 구매총액의 5% 이상을, 공사 구매총액에서는 3% 이상을 구매토록 규정하고 있다. 또 장애인기업의 경우 물품이나 용역을 구매할 경우 구매액의 0.45%를 우선 구매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도내 공공기관의 여성기업제품 구매비율을 보면 제주도교육청(8.7%) 만이 법정구매비율을 지켰을 뿐 나머지 5개 기관은 법정구매비율을 지키지 못했다.
장애인기업 제품인 경우 구매비율을 지킨 기관은 전무했다. 기관별로 보면 제주도교육청은 0.31%, 제주도 0.28%, 제주대학교병원 0.12%에 그쳤고 나머지 3개기관은 구매실적이 없었다.
경제계 관계자는 “도내 공공기관이 중소기업제품 법정의무구매비율은 지켰지만, 상대적으로 경영여건이 열악한 여성기업과 장애인기업 제품 구매는 극히 저조하다”면서 “이는 제주지역 공공기관의 제도이행에 소극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지역 기업경기가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업체 발굴 등을 통해 관련 제품에 대한 구매를 확대하는 등 공공기관이 우선 나서서 상생 발전을 도모, 지역경제를 활성화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