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정신과 ‘4.3 국가 추념일’

“이번에는 정부가 반드시 약속 지켜야” 도민 조속추진 촉구

2013-04-04     제주매일

1
 정부가 ‘제주4.3 국가 추념일 지정’을 약속했다. 3일 ‘제65주년 제주 4.3사건 희생자 위령제’에 참석했던 정홍원국무총리가 “제주 4.3사건 추념일 지정하겠다”고 약속했다. 박근혜 대통령을 대신해 정부 대표로 참석한 자리에서다.
 정총리는 이날 추도사를 통해 “제주 4.3 사건으로 안타깝게 희생되신 분들의 영전에 애도의 뜻을 표하며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슬픔을 안고 오랜 세월 견뎌온 유가족에 위로를 전한다”고 밝힌 후 “박근혜 대통령이 약속한 ‘제주4.3사건 추념일 지정’과 ‘4.3 평화재단 국고 지원 확대’를 차질 없이 추진 할 것임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4.3 국가 추념일 지정’은 4.3희생자 유족을  포함한 도민과 제주도 당국, 도내 각급 시민사회단체에서 정부의 ‘제주 4.3 진상보고서’ 확정과정에서부터 줄기차게 요구해 왔던 사안이다. ’4.3 국가 추념일 지정‘은 4.3 명예 회복과 4.3의 완전해결을 위한 출발점이며 필요 충분조건이나 다름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정부의 ‘제주 4.3 국가 추념일 지정 약속’은 ‘4.3 문제 해결’의 최대 변수이며 중요한 의미를 갖기에 충분하다.

2
 무자비한 국가 공권력에 의해 자행된 ‘제주 4.3’은 무고하고 선량한 도민들을 향한 반 인륜적 학살극이었고 부끄러운 역사 기록이었다. 한국 현대사의 치욕이었다.
 지난 세월 제주도민들은 ‘4.3에 관한 한 입도 뻥긋할 수 없었다. 이념적 사슬로 침묵을 강요 당했고 색깔을 덧씌워 도민들의 삶을 옭아맸던 ’레드 콤플렉스‘였다.
 그런데도 도민들은 이를 악물고 이를 견디어 냈다. 2002년 ‘4.3 특별법 제정’은 목구멍 가시처럼 아프게 박고 살았던 고통의 삶에 말문을 트이게 했지만 멍든 가슴은 쉽사리 풀리지가 않았다.
 구천을 헤매는 수많은 4.3 원혼들을 제대로 해원(解寃)하지 못했고 유족들의 원통하고 한맺힌 삶을 제대로 위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4.3 특별법’이 제정되고 대통령이 나서서 사과까지 했는데도 그랬다. 4.3이 완전히 정리되지 못하고 진행형으로 남아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정부의 ‘제주 4.3 국가추념일 지정 약속’은 아직도 풀리지 못하는 도민들의 마음속 한을 달래주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3
 따라서 정부는 약속대로 ‘제주4.3 국가 추념일 지정’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여야 정치권도 제주 4.3 추념일 지정을 적극 지원하리라 본다. ‘4.3 국가 추념일 지정’은 희생자와 유족과 제주사람들의 명예 회복과 도민적 상처가 치유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정총리가 추도사에서 언급했듯이 제주도민은 그동안 역사의 아픔을 딛고 제주를 ‘평화와 번영의 섬’으로 이끌어 왔다. 대립과 갈등을 관용과 화합으로 승화하면서 미래를 향한 더 큰 발전의 디딤돌을 놓았다고도 했다.
 정총리는 이러한 도민들의 4.3 극복의 힘을 ‘제주의 정신’으로 평가 했다. 이 같은 ‘제주의 정신’이 새 정부가 추구하는 ‘국민 대통합’의 귀중한 밑거름이 될 것임을 굳게 믿고 있다고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는 이번 ‘제주 4.3 국가 추념일 지정 약속’을 가볍게 여기지 말아야 할 것이다. 국가 추념일 지정과 함께 4.3 평화재단 국고지원 확대를 통해 4.3문제 완전 해결을 위한 정부의 실천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
 4.3 완전 해결의 국민대통합 밑거름이 되게 하려면 정부의 실천의지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신뢰받는 정부를 위해서도 그렇다. 정부의 빠른 행보를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