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에너지자립 ‘환경’ 딜레마

도, 2030년까지 2350MW 규모 풍력발전 시설 계획

2013-03-28     한경훈 기자
제주도가 에너지 자립을 위해 2030년까지 2350MW 규모의 풍력발전 건설을 추진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에너지 완전 자립기반 구축을 위해 육상 350MW와 해상 2000MW 등 총 2350MW의 풍력발전시설을 건설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도내 전력수요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것. 특히 원전 고장 등으로 육지부 전력이 부족할 경우 해저송전선로를 통한 제주지역 전력공급량 확보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에 대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풍력발전을 추진하기로 했다.
그러나 대규모 풍력발전 추진은 일정 부분 어업권 침해 및 경관훼손 등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제주도 계획에 따르면 해상풍력발전을 위해 한림․대정․구좌․표선 등 4개 권역에 설비용량 100~200MW 규모의 발전시설지구를 구축하게 된다. 계획대로라면 이들 지역의 해상에 최소 100개에서 최대 200개의 풍력발전지구가 들어서는 것이다.
이 같이 우후죽순 격으로 풍력발전지구가 지정될 경우 어업 방해 등으로 어업인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실제로 최근 대정해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해 환경영향평가초안 공람과 설명회를 진행했으나 대정지역 어민들이 어장 피해가 우려된다며 반발해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해상풍력 첫 시범사업부터 난관에 봉착한 것이다.
육상 풍력발전지구도 20개 이상 지정되면서 주변 경관과 생태계 훼손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15곳(설비용량 218MW)은 이미 지정됐고, 2곳(45MW)은 지구 내 토지 사용권 확보 등 보완이 이뤄지면 관련절차를 이행 후 고시된다. 육상 풍력발전지구가 20MW 규모 이상으로 지정되는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 5곳 정도 추가 지정된다.
제주도 관계자는 “풍력발전은 제주의 에너지 완전 자립과 함께 지역주민 경제적 혜택 및 일자리 창출 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며 “경관조례 규정을 엄격히 적용해 환경피해 등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