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항 지하수 증산 허용 찬반 대결 격화

반대 측, “대기업 횡포에 제주도 전체 놀아나”
찬성 측, “사용량 극히 미미하고 합법적 요청”

2013-02-25     김동은 기자
한국공항㈜의 먹는 샘물 지하수 취수량 증량을 놓고 찬반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시민사회단체 등은 제주도의회를 향해 동의안을 불허 결정으로 매듭지을 것을 촉구하고 있는 반면 제주상공회의소는 지하수 증량을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각 지역의 자생단체들도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는 등 지하수 증산 문제가 대리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어 동의안 처리 결과에 따라 도민사회에는 엄청난 후폭풍이 몰아칠 전망이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는 오늘(26일) 한국공항의 지하수 취수량을 1일 100t(월 3000t)에서 1일 200t(월 6000t)로 늘리는 내용의 지하수 개발 이용시설 변경 허가 동의안을 심사할 예정이다.

동의안 심사를 앞둔 하루 25일 곶자왈사람들·제주참여환경연대·제주환경운동연합 등 3개 환경단체는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공항 지하수 증량 동의안에 대한 도의회의 부동의 결정을 촉구했다.

이들은 “제주의 지하수는 이미 법률로써 공공적 관리원칙을 천명하고 있고, 뿐만 아니라 도민 여론 대부분도 한진그룹의 먹는 샘물 지하수 증산에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해 왔다”며 “공수관리정책을 포기해 버린 제주도에 이어 도의회마저 흔들리는 모습이 역력하는 등 대기업의 횡포에 제주도 전체가 놀아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진그룹의 지하수 증산 논란은 월 3000t을 늘리는 문제만이 아니”라며 “제주의 지하수를 온전히 지키느냐 아니면 대기업에 제주의 지하수를 사적 이윤추구의 대상으로 넘겨주느냐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또한 곶자왈사람들·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제주주민자치연대·제주참여환경연대·탐라자치연대는 이 날 공동성명을 통해 “지하수 증량 처리 결과에 따라 엄청난 도민사회 후유증과 함께 도민의 생명수를 사기업에 팔아넘긴 도의원들에 대한 막중한 책임이 뒤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천읍 이장단협의회도 이 날 성명을 내고 “한국공항의 먹는 샘물 증량은 공수의 관리원칙, 도민의 뜻과 배치되는 사안”이라며 “도민의 공수를 사유화 해 사익을 추구하려는 한국공항은 각성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반면 제주상의는 25일 “한국공항이 먹는샘물 사업을 시작하면서 제주도 지하수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알릴 수 있었다”며 지하수 취수량 증량요청 허용을 촉구했다.

제주상의는 “한국공항의 지하수 사용량은 극히 미미하고, 증량 요청은 합법적이기 때문에 허용해 줘야 한다”며 “제주축협과 서귀포축협, 제주도농업인단체 등 많은 단체들이 이를 찬성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선 지난 24일에는 표선면 가시리와 표선리마을회·표선면연합청년회가 제주도의회에 한국공항이 요청한 1일 200t 지하수 환원을 허용해 줄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들은 “한국공항이 요청한 1일 200t의 지하수 이용은 인근마을 주민은 물론 제주도민의 지하수 이용에 아무런 피해가 없다”며 “도의회는 주민들의 요청을 수렴해 한국공항 지하수 증량을 허용, 논란을 불식시켜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처럼 한국공항의 지하수 증산 문제가 대리전 양상으로 번지면서 향후 논란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