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국립공원 통합관리체계 구축’

김태윤 연구원 “각각의 보호․관리지역 시너지효과” 방안 제시

2013-01-17     한경훈 기자
한라산국립공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통합관리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김태윤 제주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제주특별자치도 국제보호지역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한라산국립공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제안했다.
김 연구원은 “한라산국립공원구역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 람사르 습지 등 국가보호지역으로 지정돼 있다”며 “이들 국제협약에서 권고하고 있는 국내법에 따른 보호․관리 및 관리협약의 권고 기준 등에 적합한 관리체계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각각의 보호․관리지역의 지정이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통합관리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김 연구원은 이와 관련해 한라산국립공원구역의 관리를 통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TF팀 성격의 통합관리팀을 구성, 담당 부서 공무원, 해당분야 전문가, 관련 환경단체 등을 참여케 해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연구원은 특히 “국내에서 국제보호지역 등에 대한 통합관리는 제주도의 사례가 유일해 이를 실현하기 위한 특별법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특별법을 별도로 제정하거나, 기존 제주도특별법에 관련 조항을 신설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