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만 건립하면 자연유산 관리되나
강창수 의원, “행정입맛대로 재용역, 복합유산 추진해야”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위원회 강창수 의원은 21일 세계자연유산관리단을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세계자연유산센터 관리운영에 있어 행정은 자신들의 입맛대로 용역을 실시, 그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2008년(4억7000만원) 제주도가 발주한 ‘제주 세계자연유산 보존 및 활용 종합계획’보고서를 보면 세계자연유산의 관리를 위해 제주 세계자연유산운영재단 설립과 세계자연유산관리조직의 기능과 역할을 정확히 명시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3년 후인 2011년(5억3000만원)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운영관리계획 수립연구’ 용역에선 자연유산센터조직 및 관리주체는 공공성을 확보하고 수준 높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직속기관으로 운영하는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도출해 냈다”고 지적했다.
결국 같은 사안에 대한 두개의 용역에서 다른 결과가 나온 것.
강 의원은 “기존에 있는 용역결과를 도외시하고 행정취향에 맞도록 재용역을 발주, 자신들의 원하는 결과를 도출해낸 것이다”며 “도(지사)의 입맛에 따라 순식간에 용역결과가 달라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유네스코 3관왕 달성이후 제주도에서 제출한 유네스코 3관왕 통합관리 실적은 유네스코 등록유산 관리 조례 제정, 위원회 구성, 통합안내판 및 홍보물 발간이 전부”라며 “센터를 건립하고 홍보물만 발간하면 통합관리가 되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제주도는 의원발의로 제정된 ‘세계유산 보전 및 관리 조례’를 폐지, 유네스코 3관왕을 통합관리를 위한 명분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유네스코 등록유산 관리에 관한 조례’를 올해 1월 제정했다. 하지만 등록유산 관리위원회만 구성했을 뿐 유네스코 3관왕을 통합 보전․관리․활용을 위한 실행노력은 전무한 실정이다.
강 의원은 “조례에는 유네스코 등록유산의 정의를 제주특별자치도 생물권보전지역․세계자연유산․세계지질공원만을 규정하고 있다”며 “제주다움을 담보하는 제주만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선 자연유산을 넘어 문화적 가치를 포함시킨 세계복합유산으로 등재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