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정책 의지에 달린 악취제거

2012-08-23     제주매일

 “연일 30도를 웃도는 찜통 더위에도 문을 꽁꽁 닫고 비 오듯 땀 흘리며 고통받고 있다”. “오늘도 어김없이 역겨운 축산분뇨 악취에 시달리고 있다”. 악취 고통을 호소하는 민원이 그치지 않고 있다. 최근 제주도청이나 시청 홈페이지에 쏟아지는 민원 상당수가 ‘악취 민원‘이다.

 이렇게 쏟아지는 ‘악취 민원‘은 어제  오늘에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오래전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생활 공해 민원이다.

 그러나 당국은 이렇게 청정제주의 이미지를 훼손하고 도민의 삶에 악영향을 주는 악취공해에 대한 뚜렷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외국정상회의 등 국제행사가 있을 경우 축산농가에 “미 부식 가축분요 액비 사용을 자제해 달라“는 게 고작이다.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마련보다는 즉흥적이고 일시적인 땜질 식 ‘액비사용 자제 주문’으로 할 일을 다 한 듯 오불관언(吾不關焉)이다.

 최근 서귀포시 당국이 세계자연보전 총회(WCC)를 앞둬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행사가 끝나는 내달 15일까지 가축분뇨 액비 살포 금지기간으로 설정한 것도 당국의 가축분뇨 악취제거 대책이 얼마나 원시적이고 근시안적인가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악취는 손으로 막거나 덮는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근본적 제거가 정답이다. 제주의 축산산업 발전을 위해서도 축산 악취제거는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다.

 지난 수년간 축산악취 제거기술 개발을 지켜봐 왔다는 B씨는 “이미 악취제거 기술이 개발돼 특허까지 받은 사실을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미 제주도내 극히 일부의 축산농가는 이를 이용 악취제거에 성공했다”고 전했다. “이 특허 기술을 이용하면 도내 축산 악취제거는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알려진 바로는 도내 축산 농가들이 이 악취제거 기계 설비에 대한 예산 부담 때문에 주저하고 있다고 한다. 도가 정책자금 등을 통해 농가에 설비비 보전 지원을 한다면 도내 축산 분뇨 악취 제거는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도가 이런 기술을 개발하든, 민간기술을 차용하든 도의 악취제거 정책 의지만 확고하다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접근해야 할 때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