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 설치가 능사는 아니다

2012-07-30     제주매일

 최근 제주올레길에서 40대 여성 탐방객이 살해된 사건이 발생한 후 올레길 탐방코스 안전대책에 대한 백가쟁명(百家爭鳴)식 대안이 쏟아지고 있다.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격으로 내놓는 안전 처방은 근본적인 올레길 안전대책이라기 보다는 국면을 넘기기 위한 즉흥적 대응이라는 데 더 큰 문제가 있는 것이다.

 사건 발생 후인 24일 도는 긴급 안전대책회의를 열었다. 숲길 안전 취약지역에 CCTV 등을 설치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이와 관련 우근민지사는 취약 올레길에 CCTV 설치 등 필요한 예산은 예비비를 써서라도 안전대책을 마련하라고 힘을 불어넣었다.

 긴급안전대책회의에서 나온 의견은 이외에도 많다. 안전취약지역에 난간이나 펜스 설치, 유대전화로 위치정보를 112에 자동 전송하는 ‘SOS 국민안전 서비스 시행’, 읍면동별 지역책임제 등 즉흥적 대안이 많다.

 특히 올레길에 CCTV를 설치하자는 안은 올레길 치안 안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올레길을 우범지역으로 몰아 올레 탐방의 순기능에 찬물을 끼얹는 ‘즉흥적 하책(下策)’이라는 비판이 많다.

 제주올레는 세계적 명품 트레킹 코스다. 지난 2007년 첫 코스가 개설된 후 지난 5년간 25개 코스가 개발됐고 오는 9월 마지막 코스 개설을 앞두고 있다. 첫 코스를 개설했던 2007년 3000명이던 탐방객은 지난해에는 109만명이 걸었다. 국내 트레킹 열풍을 불러일으킨 제주올레의 현주소를 말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제주올레코스에서 탐방 여성이 살해됐다는 것은 여간 안타까운 일이 아니다. 그러기에 올레코스에 대한 안전대책은 절대 필요한 일이다. 그것이 명품 제주올레를 지키는 일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올레코스의 안전대책을 CCTV에 의존하려는 것은 상책일 수가 없다. CCTV 설치는 사고 이후를 겨냥한 사후 약방문이나 다름없다. 사고 예방 대책으로서는 미흡할 수밖에 없다. 보다 실효적인 안전대책이 필요한 것이다. CCTV 설치가 능사는 아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