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환경을 만나다” 제주과학축전 오는 25일 개막
한라체육관 및 주변 광장서 3일간 전국대회 규모로 열려/환경.영재교육페스티벌, 가족과학.과학동아리 경연대회도 진행
2012-05-17 고안석
이번 과학축전은 제주도와 제주도교육청이 주최하고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회장 현성우
) 주관으로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한라체육관과 유도회관 및 주변 광장에서 105개 기관
과 단체가 참여해 166개 부스에 205개 프로그램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진다.
‘과학, 환경을 만나다’라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제주과학축전에는 과학체험뿐만 아니라
세계자연보전총회 홍보관, 꿈의 마을, 희망 마을, 첨단 마을, 융합(STEAM)마을, 행복 마을,
녹색 마을 등이 마련된다.
또한 환경페스티벌, 제주대영재교육페스티벌, 제주발명큰잔치, 가족과학경연대회, 과학동아
리경연대회가 동시 진행행사로 열린다.
환경페스티벌은 도내 2개 환경교육단체에서 공동 주관해 환경체험프로그램, 환경그림 그리
기대회, 환경교육 이벤트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제주대영재교육페스티벌은 제주대학교 과학
영재교육원 학생들이 참여해 생활 속의 재미있는 과학 원리를 이용한 7개의 프로그램들이
진행된다. 제주발명큰잔치는 제주학생발명연구회와 제주도내 5개 발명교실에서 발명 체험학
습기회와 창의력계발 동기를 부여할 수 10여개의 프로그램들이 진행된다. 가족과학경연대회
는 제주초등과학교과연구회와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주관으로 학부모와 학생이 함께 문
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진행된다. 과학동아리경연대회는 학교내 과
학동아리를 활성화시켜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진행된다.
특히, 올해 제주과학축전은 예년과는 달리 어린이와 가족이 직접 참여해 즐길 수 있도록 다
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학교수업의 형태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 과학의 원리를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
를 갖게 되는 과학학습교실이 운영되며, 입학사정관 제도에 따른 변화하는 입시제도의 적극
대응하기 위해 평소에 접하기 어려운 실험프로그램을 통해 자기 주도적 탐구 수행을 할 수
있도록 과학실험체험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유아를 대상으로 놀이를 통해서 과학을 즐길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으로 탐이와 함께하는
창의과학놀이터가 마련돼 운영된다. 가족과학나눔체험 프로그램이 확대 운영된다. 도민들이
체험활동에서 벗어나 직접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전력저장장치와 미래 신재생 에너지 시연 및 체험을 할 수 있는 포스코 컨소시엄 스마트그
리드 체험관이 녹색마을에서 진행된다.
전국 시도가 참여하는 전국과학 시도관에서는 11개 시도의 과학교육 단체가 참가해 14개의
과학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25일 전국과학교사협의회 회원과 제주 과학교사들이 참여하
는 과학심포지엄을 개최해 과학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시간도 마련하게 된
다.
또한 주제마을에는 제주에서 개최되는 세계자연보전총회를 알릴 수 있는 홍보관을 전시하고
,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퀴즈로 알아보는 제주의 과학 등 제주속의 과학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한 과학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융합과학관과 첨단 마을도 운영하게 되는데 융합과학관은 유도관에서 자유롭게 융합과학을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시간대별로 운영한다.
첨단 마을은 ‘이공계 기피’라는 사회적인 문제를 극복해 보고자 마련한 프로그램이다. 이
공계 관련 대학, 연구소, 기업체에서 평소에 접할 수 없는 연구소 체험프로그램 및 IT기술
체험프로그램을 마련하며, 이공계 학과에 관련된 홍보 및 과학과 관련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제주도 김홍두 향토자원산업과장과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현성우 회장은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학부모와 학생들이 과학체험을 통해 뜻 깊은 추억을 간직하길 바란다”면서 “행
사 후에 관람객 및 참여기관, 단체의 만족도 조사와 평가보고회를 거쳐 보완사항을 지속적
으로 개선해 도내외 최고의 지역과학축전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축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관람이 가능하다. 제주과학축전에 관한 자
세한 내용은 ‘제주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홈페이지(www.jysc.or.kr)’에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