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값 대란

2012-01-08     제주매일
전국적인  소 값 대란이 일어나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공급되는 한우 고기 값은 종전과 다름이 없는데 한우 생체(生體) 값은 형편없이 떨어져 생산비에도 크게 못 미치고 있으니 대란이 일어 날 수밖에 없다. 소를 키우면 키울수록 손해가 크다며 축산농민들이 아우성이다.
 비육우(肥肉牛)인 경우 어린 송아지 한 마리 값이 1만 원대라니 정부가 아무리 변명을 해도 농민들이 납득할 리가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축산농가 들이 일어선 것은 결코 이상한 일이 아니다. 도리어 이를 감수하면서 가만히 눌러 앉아 있다면 그것이 더 이상한 일일 것이다. 비교적 고임금을 받는 노동자들조차 “고물가에 견디기 힘드니 월급을 올려달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판국에 1만 원대의 송아지를 두고 앉아만 있을 농민이 어느 나라에 있을 수 있단 말인가.
 지난 5일 참다못한 전국의 축산 농민들이 수천 마리의 소를 서울로 싣고 가 ‘반납운동’을 벌인 것은 이상한 일도, 특별한 일도 아니다. 지극히 자연 발생적으로 일어난 축산 농민들의 ‘생존의 몸부림’일 따름이다.
 이날 전국 10개 시도 축산 농민들이 수백 대의 트럭에 수천 마리의 소들을 싣고 청와대와 기획재정부 쪽으로 몰려가 ‘소 반납운동’을 벌이자 아마 정부는 긴장했을 것이다. 어디 이 운동이 서울서만 벌어졌던가. 제주를 포함한 전국의 지방에서도 그것은 마찬가지였다.
 소 반납운동을 통해 축산 농민들은 하나 같이 똑 같은 울분을 토해 냈다. “정부가 경제 논리를 앞세워 농민을 버렸듯이 우리도 소중한 가족이자 재산이기도 한 소를 버릴 수밖에 없다”며 절박함을 하소연 했다. “한-미 FTA와 사료 값에 우리 농가 다 죽는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적극적인 한우 수매, 암소 도태 유도, 장려금 및 사료비 지원 확대, 비육우 가격안정제도 마련, 송아지 생산 안정을 위한 보전금 확대” 등을 요구하기도 했다.
 우리는 정부에 묻는다. 전국 축산농민들의 ‘소 반납 운동’이 잘못 된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그리고 축산 농가들의 안정된 소 사육 대책 요구가 과욕이라고 평가 하는가. 그렇지 않다면 하루 속히 전국의 축산 농가들의 울부짖음을 사실로 받아들여 유통구조 개선 등 특별 대책을 빨리 세우기 바란다. 만약 이들의 절규를 엄살로 치부한 다면 그것은 정부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