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공무원 정원 늘릴 때인가

2011-10-31     김덕남 대기자
최근 제주도재정진단TF팀은 도 재정 악화의 심각성을 일깨웠다. 1조5000억원의 부채를 안고 있는 도가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5년 후에는 지방세로 공무원 봉급을 주지 못할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 했다.
 현재 제주도의 공무원 인력운영비는 해마다 증가일로다. 지난 2007년 2826억원 하던 인력운영비가 2008년에는 3378억원으로 증가했고 2009년도 3572억원, 2010년 4021억원으로 급증추세다. 4년 사이 무려 42.3%(1195억원)가 증가했다.
 또 도공무원 채용과 호봉 승급 요인에 따라 매년 300억원이 소요되고 이런 이유들로 하여 내년부터 4년간 인력운영비 증가율은 매해 9.6%, 1400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5년 뒤에는 지방세수로는 인력 운영비를 지급하지 못할 사태가 올 것이라는 것이 도재정 TF팀의 진단이다.
 이처럼 매해 인력운영비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데도 도는 최근 지방공무원 총수(정원)를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한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 개정안’을 확정, 도의회에 제출했다. 현재 5012명의 정원을 5023명으로 11명 늘리겠다는 것이다.
 지방세 수입으로는 봉급을 주지 못 할 사태가 올 것이라는 경고를 받고 있는데도 아랑곳없이 공무원 수를 늘리겠다는 고집이다. 재정 건전성 위기를 외면한 인력관리 운영이다,
 정년?명예퇴임 등 자연감소와 직렬 전환 등 인력 운영의 묘를 살리면 정원을 늘리지 않고도 효율적 인력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앞뒤 재지도 않고 무조건 정원만 늘리는 것은 능사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