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밀 보안 대처수준 낮아

제주상의 실태 조사, "전담직원 배치" 6%
관리.물리적 통제 치중...기술적 보안시스템 구축 시급

2011-08-30     임성준 기자
도내 기업들이 산업기밀 보안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대처 수준이 낮아 기술적 보안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상공회의소(회장 현승탁)가 지난 5~12일 도내 85개 업체를 대상으로 산업기밀보안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회사 기밀 유출을 예방하기 위한 관리조직을 갖추고 있느냐는 질문에 담당직원이 없다는 응답이 53%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기존직원 중복업무(34%), 별도조직 운영(7%), 전담직원 배치(6%) 순으로 조사됐다.

핵심산업기밀 보유 현황은 영업노하우(31%)와 생산제조기술(26%)을 꼽았다.

응답 업체의 8%가 핵심산업기밀 유출 피해를 입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유출 횟수로는 1~4회, 평균 피해액은 5000만~2억원으로 나타났다.

주로 경쟁업체, 퇴직직원, 협력업체에 의해 유출됐으며 유출 수단으로는 합작사업과 공동연구, 컴퓨터 해킹, 시찰.견학, 핵심인력 스카우트 등이라고 응답했다.

기밀 보호를 위해 도입하고 있는 보안관리 시스템으로는 입.퇴사시 비밀엄수계약(16%), 거래업체와 비밀유지 계약(12%), 외부인 출입통제(12%) 등 주로 관리적.물리적 통제 시스템 비중이 높았다.

반면, 방화벽 설치(8%), 저장매체 종합관리(7%) 등 기술적 대책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았다.

제주상공회의소 관계자는 "도내 업체들의 산업기밀 유출 피해는 적은 편이지만 이메일, 해킹 등 유출 기술의 최첨단화 추세를 감안한다면 보안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과 기업 자체적인 철저한 보안관리를 위한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기술적 보안시스템 구축이 이뤄지도록 정부 관련기관의 각종 지원과 기업의 세제 혜택 등이 필요하다"며 "정보.보안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양성프로그램 운영도 제도적으로 시급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