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대, 16만 서귀포시민과 함께”
캠퍼스 매각 반대-‘통합대 유치’ 공감대 급속확산
제주사회 최대 현안인 산남.북 불균형 문제가 서귀포 지역 유일한 대학인 탐라대 존폐 문제와 맞물리면서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제주시 집중에 따른 산남지역 공동화 현상과, 특히 제주시 집중의 교육.문화 환경이 고착화 되는 가운데 산남 대학 폐지 문제가 맞물려 서귀포 민심이 들끓고 있다.
상황이 악화되면서 서귀포시를 비롯해 민간 경제단체.자생단체.시민사회단체까지 30여단체가 탐라대학교 부지매각과 제주산업정보대로의 흡수통합을 반대하며 ‘탐라대 매각반대 범시민 대책위원회’까지 긴급 결성하고 나섰다.
이와 관련 범시민대책위는 6일 탐라대 매각저지를 위해 제주도와 제주도의회, 제주도교육청을 차례로 방문, 탐라대 매각의 부당성을 지적하며 지방정부 차원의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범시민대책위는 서귀포시와 시 상공회, 시 관광협의회, 새마을회, 이장연합회, 여성단체협의회, 새마을부녀회, 탐라자치연대, 주민자치위원회 등은 물론 하원.대포.회수 등 인근 마을회까지, 서귀포시지역 약 30여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사실상 서귀포지역 모든 민.관기관단체가 참여하는 시민전체의 의사결집체가 형성된 것이다.
그만큼 서귀포 시민들에게 탐라대 존폐문제가 심각한 상황으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범시민 대책위는 ▲통합대학의 서귀포시 유치(산업정보대로의 통합 및 탐라대학교 부지매각 반대) ▲제주대학교 옛 농수산대 부지 반환 ▲통합대학이 서귀포시로 유치시 청사 건물 제공 등을 골자로 한 결의문을 제주도 등에 전달했다.
범시민 대책위는 교육과학기술부 등 중앙부처도 찾아 이 같은 의사를 전달키로 했다.
범시민대책위는 대학 통합 자체를 반대하지 않지만, 통합대학은 산업정보대가 아닌 현 탐라대 부지에 터를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5일 열린 제주도의회 제283회 정례회 본회의에서도 서귀포출신인 현정화 의원은 5분 발언을 통해 “동원교육학원이 학생 수가 없어 장사가 안 되니 탐라대학교 부지를 팔아먹을 잔꾀를 부리고 있다”며 “서귀포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도저히 양심이 용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현 의원은 또 “만약 이 조차 어렵다면 지역주민의 의견을 받아들여 탐라대학교 매각 시 하원동 주민에게 매각하되 개교당시 매입금액 그대로 매각하는 것이 지역을 위한 사학재단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 의원의 이날 발언은 현재 탐라대 캠퍼스 매각을 바라보는 서귀포 시민들의 정서를 액면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김대환 범시민대책위 공동의장(서귀포시상공회 회장)은 “탐라대를 살리기 위해 앞으로 다양한 형태의 강.온 방안을 실천해 나가게 될 것”이라며 “시민들을 상대로 탐라대를 살리기 위한 서명운동을 시작하는 한편 교과부 방문, 지역출신 국회의원 면담 등을 통해 실질적으로 탐라대가 16만 서귀포시민들과 영원히 함께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