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천단-무수천 유원지 霧散 되나
전국 의회의장단 결의도 외면 할 텐가
산천단-무수천 유원지 霧散 되나
설사 민간 업자가 조성하는 유원지라 하더라도 그것이 꼭 사업자의 이익만을 위하는 것이 아니다. 유원지 자체가 시민들에게는 휴식-오락-스포츠-산책공간이요, 어린이들의 놀이 공원이며, 프로그램 편성 여하에 따라서는 종합 문화센터 역할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간인 경영의 유원지도 일정부분 공익성이 있게 마련이며, 그 규모가 크면 클수록 공익성은 더욱 강해진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유원지는 지방자치단체가 조성, 직영하는 것이다. 하지만 예산 사정 등으로 그렇지 못할 때는 여건이 알맞은 곳을 유원지 지구로 지정해 민간업자로 하여금 사업을 시행토록 허가해 주는 일이 흔하다.
제주시가 지난 1980년대 이후 무수천과 산천단을 유원지로 도시계획시설을 지정, 민간 업자들에게 사업시행을 허가해 준 것도 그러한 예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양대(兩大) 유원지 사업은 20여년이 지난 지금도 지지부진하다. 아니 지지부진 정도가 아니라 무산될 위기에 있다. 무수천 유원지의 경우도 두 차례나 사업자가 교체되었으나 성사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제주시 해안동일원 45만1146㎡에 1450억 원을 들여 각종 숙박 오락시설 등을 조성할 계획인 무수천 유원지는 새로운 사업자가 부지 70%를 매입, 2009년 12월 착공까지 했으나 자금난으로 더 이상 진척되지 않고 있다.
이는 산천단 유원지도 비슷하다. 1차로 37만1477㎡에 조성할 계획인 이 사업도 2006년 11월 새로운 승계자가 나타나면서 기대를 모았으나 아직까지 달라진 게 없는 상태다.
제주시는 이렇듯 양대 유원지 사업이 진퇴양난에 빠지자 무수천 업자에 대해서는 이 달 중 청문을, 산천단 업자에 대해서는 실현 성 있는 실질적 사업계획서 제출을 요구한다는 방침인데, 그 결과가 기대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면 사업 승인 취소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어쨌거나 제주시 당국은 20여년 넘게 질질 끌어 온 산천단과 무수천 유원지 사업을 빨리 매듭지어야 한다. 그렇지 못한 데에는 제주시 당국의 우유부단함에도 책임이 없지 않다.
전국 의회의장단 결의도 외면 할 텐가
정부가 환경올림픽이라고 불리는 ‘세계자연보전총회(WCC)’에 대한 인식이 잘못 된 것 같다. 그렇지 않고서야 내년 9월 제주에서 열리는 WCC 총회를 위한 예산 지원에 정부가 그렇게 인색할 수가 있겠는가.
세계자연보전총회는 자연보전 분야의 세계 최대 단체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4년에 한 번씩 각국을 번갈아 가면서 여는 대규모 국제회의다. 이 회의에는 세계 각국에서 적어도 1만여 명 이상이 참여해 오고 있다. WCC 총회를 가리켜 환경올림픽이라 부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러기에 WCC 내년 총회를 제주에 유치한 것은 개최지 제주도의 명예일 뿐만 아니라 개최국 대한민국의 영광이기도 한 것이다.
그래서 제주도가 이 총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8개 분야 관련 사업비 총 1231억 원 중 지방비 283억 원을 뺀 949억 원을 국비에서 지원해 달라는 것은 정당한 요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쩨쩨하게도 올해 예산에 제주도 신청 액의 10%도 채 안 되는 79억 원만을 반영했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모처럼 유치한 환경올림픽을 포기하라는 말로 들린다.
만약 국비지원 비협조로 이 행사를 접게 된다면 제주도로서도 창피한 일이지만 정부는 더 큰 망신일 것이다. 오죽하면 엊그제 제주에 모인 전국 시도의회 의장들이 공동 결의안을 채택, 제주WCC 총회에 필요한 정부 예산을 지원하라고 촉구했겠는가. 정부가 이러한 전국 시도의회 의장들의 요구까지 귀를 막아 들어주지 않는다면 정부의 인식에 더 큰 문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