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앞 시끄러워도 ‘미봉타협’ 안해”

도, 지역 노동갈등 ‘원칙있는 대화’ 입장 재확인

2011-04-11     정흥남


최근 들어 제주도청 앞에 가면 곳곳에 제주도정을 비난하고 급기야 우근민 지사의 퇴진까지 요구하는 대형 현수막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지역 일부 사업장을 중심으로 노사갈등이 극심하게 표출되면서 지방정부의 개입을 촉구하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제주도는 이와 관련, 11일 이례적으로 지역 노동 갈등에 대한 ‘원칙 있는 대화와 간섭 입장’을 재 확인했다.

김상인 제주도 행정부지사는 이날 오전 최근 노사갈등이 발생하고 있는 기관의 담당 과장들을 배석시킨 가운데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자청한 뒤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쟁점들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인내심을 가지고 노사 간 대화를 지속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부지사는 이에 앞서 이날 지난해 11월부터 제주도청 앞에서 장기간 농성을 벌이고 있는 민주노총조합원들에 대해서는 우려와 안타까운 입장을 표명했다.

김 부지사는 이날 특히 가파른 대결구도를 보이고 있는 제주의료원 노사문제와 관련, “제주의료원이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경영 정상화라는 원칙이 지켜지는 범위 내에서 대화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면서 노조의 일방적 대화재개 주장을 반박했다.

김 부지사는 이어 도립무용단 분쟁과 관련해서는 “단체협상 의제 63개 조항 중 43개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으며 현재 쟁점으로 남아있는 인사 및 징계권, 정책결정 사항 등 사용자의 권한에 속하는 부분에 대해 과도하게 노조가 개입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부지사는 우성아파트 분쟁의 경우 제주시의 대화 주선 노력으로 해임됐던 전임 소장과 직원이 복직해 근무하면서 분쟁이 일단락됐고 소개했다.

김 부지사는 이날 “도청 앞에서 농성으로 인해 다소 시끄럽고 보기 싫다고 해서 미봉책으로 (대화를)처리하지는 않겠다”며 “노사갈등의 본질적인 문제와 함께 그 해법을 같이 고민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